18조 집행속도 있게 한다는데 혜택받을수있나요
2025년 정부가 경기 회복을 위해 공공부문에 총18조원 규모 재원을 투입하고 상반기에 신속집행으로 민생체감도를 끌어올린다는데 실제 혜택을 받을수있는거낙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공 부문에 18조원 정도의 재원을 투입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상반기는 이미 지났기 때문에 하반기나 되어서야지
재정 투입이 될 것으로 보여지고 아직은
조금 더 기다려 봐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상반기 신속 집행을 통해 경기 회복과 민생 안정을 노리지만 직접 체감은 제한적입니다.
대규모 재정 투입은 공공사업, 지원사업 중심으로 흘러가 개인이 곧바로 혜택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복지, 소상공인 지원, 일자리 정책을 통해 간접적인 생활 안정효과는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쉽게 말하면 천천히 쓸 돈을 아주 단기간에 끌어다 쓰면서 어떻게든 체감 민생 효과를
끌어올리겠다는 내용입니다
이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은 대부분의 국민들이 경기가 올라왔다는 체감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그 이후에 또다시 경기가 나빠질 경우 더이상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반기가 아닌 9월 안에 18조1000억원(87.5%)을 9월 말까지 집행한다는 계획인데요. 소비쿠폰과 소상공인지원, 건설경기 활성화, 고용안정화 등에 소요될 예정인데 실제 혜택은 대상자들이 모두 받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18조 투입이라는 게 숫자로만 보면 엄청 커 보이지만 실제로는 어디에 어떻게 쓰이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공공사업 조기 발주나 지역 SOC 사업이 늘어나면 건설업이나 협력업체는 숨통이 좀 트일 수 있습니다. 또 지자체를 통한 생활 SOC나 복지성 지출이 확대되면 주민 입장에서도 체감할 여지는 있습니다. 다만 일반 가계가 직접 지원금을 받는 식은 아니고 일자리나 지역 경기 개선을 통해 돌아오는 구조라 체감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정책 집행 속도가 변수라서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정도는 좀 차이가 있을 거라 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에게 직접적인 투자를 한다기 보다는 일자리 창출, 인프라 투자, 중소기업 지원, 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금 확대 사회복지 를 통해 전반적인 경기를 이끌겠다는 것입니다.
개인에게도 차등으로 지원을 하며 기업에게도 세액공제나 저금리 융자 등으로 혜택을 주게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