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빠른당나귀191
빠른당나귀191

지금의 이상 기후의 영향이 심층수 일것 같은데 왜 이문제를 논의 안할까요?

심층수가 저온 고밀도로 해저를 순환하면서 바닷물의 온도, 빙하나 이상기후와 지구의 자전축의 변화등 탄소 배출권 보다 훨씬 더 기후에 영향을 미칠것이라는 사실을, 일반인인 저도 짐작할 수 있는데, 왜 과학자나 언론, 세계정부는 이문제를 논의 조차 안하는 걸까요?

제가 잘못 짐작하고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배부른긴꼬리165
      배부른긴꼬리165

      내 생각에도 그렇습니다. 얼음을 공기로 녹이는 것보다 같은 온도의 물로 녹이는 것이 더 빨리 녹지 않나요?

      지금 바다도 점점 더 따뜻해져서 열대 어종이 한국에도 잡힌다는 뉴스를 종종 보고 있는데, 이건 일반 사람인 제가 보기에도 영향을 많이 주고 있는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DELTA입니다.

      잘못 짐작하고 계십니다. 중요한 것은 탄소 배출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농도 상승입니다.

      굳이 바닷물을 연관시키려면 표층수의 온도이겠지요. 그리고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은 온실가스 농도에 따른 지구 전반적인 온도 상승, 하강에 영향을 받습니다. 즉 1차적인 원인인 온실가스에 집중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