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 보험 펀드 무엇을? 얼마나? 어디상품을?
30대때 아무생각 없이 들었던 연금저축 보험이 만기가 되었네요 소액(10만원)으로 들었던거라 생각 없이 있다가 만기가 되어 조금 금액을 높여서 다시 들어볼까 생각 중입니다 월 세후400 정도 지출은 150~200 정도 입니다
연금이 저축 보험 펀드 여러 종류들이있는데 그냥 노후생각해서 없는돈이다 생각하고 월 30~50만원 정도
들어갈까 생각하는데 어떻게 어디에서 들어야 할지를 모르겠네요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나이가 은퇴시기까지 많이 남아있는 점, 현재 소득과 지출상황으로 보아 변액연금을 추천드립니다. (보장성 상품이 아닌, 연금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실적배당형 적립상품을 말합니다)
별도로 사망보장에 대한 니즈가 없으시다면 · 보장이 이미 있으시다면 변액 종신은 가입하실 필요가 없구요(사업비가 높습니다).
개인적으로 증권 계좌로 투자형 상품을 이용하시는지는 모르겠으나, 장기적 목적으로 나스닥이나 유망한 해외지수추종형 펀드에 투자되는(qqq, s&p500 등) 펀드에 장기적으로 적립식 분할매수하는 연금상품을 추천드립니다.
관리만 잘 되면 어떤 상품보다 장기수익률과 비과세혜택을 같이 가져갈 수 있는 상품이니, 한번 고려해보시길 추천드려요.
답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은 보험형과 펀드형 두 가지가 있는데, 노후 준비를 위해선 펀드형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해외지수 추종 펀드에 분산 투자하면 장기 수익률이 높고 세제 혜택도 받으실 수 있답니다.
운용 수수료와 위험도 고려하셔야 하니 본인 투자 성향에 맞게 선택하는 게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이 만기되어 새로운 상품을 찾으신다고 하시면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가 있다고 볼 수 잇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의 경우 보험사에서 운영이 되는 것이며, 시행초기에는 사업에 대한 운영비 명목으로 빠지는 비용이 많습니다. 또한 이러한 비용에 비해 수익률은 낮은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지만, 다양한 종목을 활용한 수익률 창출이 가능하지만, 운용수수료가 추가적으로 발생합니다. 이는 연 400만원까지는 세액공제가 발생되기에 이러한 한도내에서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