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검사 케톤 +3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예전 종합검진에서 소변검사 결과 케톤이 약산성 +1 나왔고
한달 뒤 재검에선 음성 +3이 나왔습니다
제가 다이어트중이라 군것질을 줄이고 탄수화물 양도 제한 하고있어서 케톤이 나온것 같아요
다른건 크게 문제가 없지만 콜레스테롤 수치만 좀 간당간당합니다
케톤 양성과 음성이 뭐가 다른지, 왜 음성인데 수치는 오른건지 탄수양을 늘리고 케톤을 안나오게 하는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케톤은 탄수화물이 부족할 때 지방을 분해해서 생기는 산물로 케톤이 나오는 것 자체가 지방이 과다하거나 탄수화물이 부족한 것을 의미합니다. 케톤이 나오는 것 자체는 건강에 해롭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케톤이란 체내 지방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물질입니다. 탄수화물 섭취가 부족하거나, 당뇨병과 같이 혈당 조절에 문제가 있을 때 케톤이 과다하게 생성될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에서 케톤이 양성으로 나온다는 것은 소변에 케톤이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케톤 수치는 +1, +2, +3, +4로 표기되며, 수치가 높을수록 케톤이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이어트 중에 케톤이 나오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다이어트를 하면 탄수화물 섭취가 부족하여 체내 지방이 분해되어 케톤이 생성됩니다.
하지만 케톤 수치가 +3으로 높은 것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케톤 수치가 높으면 다음과 같은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탈수: 케톤은 소변을 통해 배출되면서 수분을 많이 소모시킵니다.
전해질 불균형: 케톤은 혈액의 전해질 균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산증: 케톤은 혈액을 산성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합병증: 당뇨병 환자의 경우 케톤 수치가 높으면 당뇨병 케톤산증(DKA)이라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톤 수치가 +3으로 높은 경우 다음과 같이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탄수화물 섭취량을 조절합니다. 극단적인 탄수화물 제한은 케톤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적절한 양의 탄수화물을 섭취하여 케톤 수치를 조절해야 합니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케톤은 소변을 통해 배출되면서 수분을 많이 소모시킵니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전문의 진료를 받습니다. 케톤 수치가 높은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