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위에 떠 있는 곤충 중에 소금쟁이는 어떤 원리로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인지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여러가지 곤충들 중에서 소금쟁이는 물 위에 떠서 자유롭게 다닐 수 있습니다. 물 위를 어떻게 떠다닐 수 있는 것인지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무게가 가볍고 물 표면에 형성된 수막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물분자들은 서로 끌어당겨 표면적을 최대한 줄이려는 "표면장력"을 가지고 있어서 수면에 수막이 형성됩니다. 수막의 힘에 의해서 동전을 물위에 올려 놓을 수 있습니다. 소금쟁이도 다리에 털이 많아서 몸무게를 분산시켜 수막위에 떠서 이동이 가능해 집니다. 소금쟁이, 물방개, 거미, 나방의 애벌레도 같은 방법으로 물위에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소금쟁이는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물에 뜰 수 있습니다.
소금쟁이의 발이 물에 닿게 되면 물이 오목하게 들어가게 되고 표면적이 넓어집니다.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물이 소금쟁이의 발을 위로 밀어 올리면서 표면적을 줄이려고 하기 때문에
물 위에서 소금쟁이가 물에 뜰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물에 뜨는 원리
소금쟁이가 물에 뜨는 이유가 표면장력 때문 이라는데 표면장력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작용해서 소금쟁이가 물에 뜰수 있는지 설명해 주세요.
소금쟁는 발이 물에 닿게 되면 물이 오목하게 들어가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물의 표면은 소금쟁이의 발을 위로 밀어 올려 표면적을 줄이려 하는데 이것이 바로 소금쟁이가 표면장력으로 물에 뜰 수 있는 원리이다.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는 표면장력을 이용한것입니다.
물론 표면장력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해,소금쟁이는 발에 수많은 잔털이 있고, 소수성 코팅이 되어있습니다.
일예로 물방울이 둥근이유는 표면 아래의 물이 표면의 물 분자를 끌어당기기 때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