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일은 왜 비정규직인가요? 안전관리자의 책임이 있잖아요
안녕하세요 시티헌터입니다.
전기일은 왜 비정규직인가요? 안전관리자의 책임이 있잖아요
책임자가 비정규직이라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기 분야에도 정규직이 많습니다. 다만 비정규직으로 고용하는 이유에는 유연한 인력 운용, 비용 절감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 분야의 비정규직 문제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프로젝트 기반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아 고용 형태가 유동적일 수 있으며, 특정 기간이나 프로젝트 중에만 전기 인력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안전관리자의 책임이 크지만, 회사의 인력 운영 방식에 따라 고용 형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려면 안정적인 업무 환경과 지속적인 고용을 위한 회사 차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수변전설비에 대한 안전관리자는 외부 업체에 맡기는 경우도 상당 수 있습니다.
이에, 실제 상주하여 근무하시는 분들의 경우 계약직 근로자가 있을 수도 있으며,
현장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실제 상주 인원이 안전관리자의 역할도 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직원은 정규직으로 근무를 하게 되며 설비 점검 등은 외부 업체에 맡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사 취득후 2년 경력 채우면 건물내 안전관리자로 일할수 있지만 용역 회사가 대부분이라 계약직 많습니다. 그러나 꼭 정규직이 없는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일의 특성상 특정한 업무 때문에 만들어지는 일이 있고 그에 따른 계약에 따라서 단기적으로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그렇게 비정규직으로 하는 게 장기적으로 본다면 비용적인 면에서
이득이기 떄문이에요
개인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부분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