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국은행에서 빅스텝을 발표했는데요. 그래도 아직 미국보다 금리가 낮은데 환율이 계속 오를까요?
오늘 한국은행에서 빅스텝을 발표했습니다.
대출이 있는 저로서는 금리가 여간 부담스럽습니다.
빅스텝을 해도 미국보다 낮은데 환율은 계속 상승세 일까요?
나라 경제에 걱정이 많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환율이 상승한다는 이야기는
국내에 있는 외화가 국외로 빠져나간다는 의미로
금리 인상과 무관하게
외국인들이 한국경제에 대해 별로 좋게 느끼지 않는다면,
외화가 유출되고, 환율을 계속 올라가게 될겁니다.
부디 별일 없길 바라야겠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의 영향은 금리인상의 내용으로만 확인할 수는 없지만, 미국이 강달러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이상 더 상승할 여력도 있어 보입니다.
최근 미국의 금리인상과 양적긴축 정책들에 따라 달러강세장이 지속되고 있는데, 이는 비단 우리나라의 원화가치가 낮아졌다기 보다는 글로벌한 달러강세의 현상이라고 보여집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미국의 수단 중 하나로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달러화의 가치가 오르면서 수입물품의 가격이 오르게 되는 현상 즉 인플레이션의 현상이 더 안좋습니다만,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달러의 강세장을 유지하면서 수입물품의 상대적인 가격을 낮게 형성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환율 방어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만, 글로벌한 추세를 이겨내지는 못하고 계속 환율이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보았을때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이 계속되는 한 어느정도 이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이 현재까지는 더욱 오르진 않겠지만 미국이 남은 fomc에서 금리를 75bp씩 인상한다면
환율은 더욱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미국간에 금리차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환율 변수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의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기위한 수단으로 금리인상은 올말까지는 계속될것이며 내년이 더욱더 경제적으로 힘든시기라고 생각합니다.일각에서는 1500원선도 보고 있는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지금도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도 있고
미국은 올해 2차례, 우리나라는 1차례 금리결정이 남아있고
당분간 각종 경제적인 불확실성이 너무커 환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을 것 같으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내년말까지 4.5% 수준의 금리로 올릴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앞으로 1%정도 더 오를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 따라서 올해 또는 내년에 기준금리.추가 인상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렇게 금리를 급격하게 올리게 되면 경제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경기침체 또는 불황이 올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출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힘든 시기가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번 금리 인상으로 급격한 환율 상승은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겠으나 아직도 미국의 금리(3.25%)가 한국(3%) 보다 높고 오는 11월, 12월 FOMC 회의 때 추가 인상이 유력합니다. 미달러는 기축통화이기도 하며 유일무이한 안전자산임이 재차 증명이 되었습니다. 실수요 뿐 아니라 경기 불안으로 가수요까지 발생하고 있어 강달러는 상당 기간 지속될 것 같고 이에 대한 환율 및 물가 대응으로 한국은행도 금리를 추가로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강달러, 고환율 및 고물가는 최근 IMF 발표 내용과 같이 최소 내년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