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비둘기
비둘기

유독 한국전쟁 참전국중 튀르키예를 형제의 국가라고 많이 언급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것인가요?

한국전쟁당시 많은 국가의 젊은이들이 우리나라를 위해서 이 땅에 와서 전쟁을 도와줬습니다. 그중 가장많은 군인들이 참전한곳은 단연 미국인데 우리가 미국을 형제의 나라라 부르지 않고 동맹국이라부르는반면 튀르키예는 유독 형제의 국가라고 언급을 많이 하는데 특별한 이유나 사정이 있는것인가요? 질문드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깝게는 한국전쟁 당시 지원군을 보내준 나라이기도 하고 역사적으로 보면 과거 튀르크 계열 국가였던 돌궐과 고구려랑 동맹도 맺고 우호적인 관계를 지니며 삼국시대부터 우리나라 역사와 밀접한 관계였던 것이죠.

      따라서 형제의 나라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를 형제의 나라라고 불리는 것은 돌궐에서 시작됩니다.

      과거 돌궐이 흥하던 시기 우리나라에 고구려가 있었고,고구려-돌궐 연합으로 당나라와 싸웠던 기록이 있습니다.

      또, 연개소문 장군은 돌궐 공주와 혼인을 맺을 정도로 돌궐과 고구려의 관계는 동맹관계였습니다.

      이 돌궐인들이 향후 여러 곳으로 이주해 여러 투르크계 국가를 건설하는데 대표적인 국가가 튀르키예 입니다.

      이후 한국전쟁에서 튀르키예는 많은 수의 병력을 우리나라에 파병하고, 여러 공을 세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튀르기에 터키가 고구려 때 돌궐이라는 큰 나라였습니다. 종종 고구려를 도와서 야만족을 물리치는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 6.25 전쟁때 많은 병사를 파병해주었고, 또 돌궐의 후예여서 그렇게 칭하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튀르키예 사람들은 누구나 어느나라 사람이나 형제의 나라라고 말하는 습관, 즉 입에 발린 말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니 상황을 잘 알고 쓰여졌으면 좋겠네요. 6.25때 16개국가가 같이 파병해주었는데, 특별한 나라만 형제의 나라라고 우대하는건 좀.....ㅠ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터키군은 한국인들을 정말

      사랑하였습니다. 전쟁터에서 굶주린 한국인들을 위해 본인들도 부족한데도 먹을 것을

      나누어 먹었습니다. 부모를 잃은 고아들을

      위해 수원 지역에서 ‘앙카라 학교’를 지어

      고아들을 보살피고 교육했으며 이 학교는

      약 10년 간 지속되었습니다. 한국전에서

      싸웠던 우리 참전 용사들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자유와 평화를 쟁취하고 훌륭한 나라를

      만드는 데 미약하나마 자신들이 도움이

      되었다는 사실에 매우 감격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