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편식을 할때 효과적인 대처법은?
아이가 매 식사마다 편식을 하는 모습을 보니 속상하고 스트레스가 쌓입니다. 어떻게 해야 아이 편식을 효과적으로 대처할수 있을까요?
아이가 편식할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효과적인 대처방법은 식습관 개선 교육이 그 시작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편식은 많은 부모들에게 고민거리입니다. 특히, 아이가 특정 음식을 거부할 때마다 부모가 속상하고,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이죠. 그러나 아이의 편식은 종종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려면 긍정적인 접근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편식을 해결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강요하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로 다양한 음식을 제공하며, 아이의 입맛에 맞춰 점차적으로 변화를 주는 것입니다. 또한, 아이가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가족의 식사 분위기나 식사 모델링이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의 꾸준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하지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아이가 편식을할 때에는 바로 이렇게 효과적으로 대처해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함께 야채로 음식을 만들고 음식 준비를 해보세요.
아이들은 본인이 음식을 만들고 준비하면서 해당 음식에 호기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잘 안 먹는 음식은 잘게 썰어 볶음밥이나 잘 먹는 음식과 함께 줄 수 있도록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과 새로운 음식을 함꼐 제공해서 익숙해지도록 하고 식사를 놀이처럼 즐겁게 만들어 긍정적 경험을 늘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