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저학년때까지가 그나마 돈을 모을수 있다는데
빚이 좀 있어요 올해 신용 다 갚고 남는건 아파트 대츌이네요 그래서 올해부터 적금 넣을수 있는데 다들 주변에서 애 어릴때 모을수 있다더라고요.. 그러면 지금 모은거를 애 고등때 쓰는건가요 노후는 언제 해야할지 ㅜ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슬픈 현실이지만 실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길 때면 이미 노후가 되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빠듯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고 국민연금도 믿을만한 구석이 안되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연금저축펀드나 IRP계좌를 통해서
개인 자금을 확보해야 합니다
예적금도 물론 좋지만 세제혜택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금리 인하기에는 개인연금이 현실적인
대비책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세계 1위인 이유는 자녀들의 교육비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가난했기 때문에 부모님이 아무것도 해 준 것이 없습니다 그저 밥에 김치 정도만 먹고 살았습니다 지금은 남들이 부러워할만큼 부유한 집이 되었습니다 자식이 학교 수업만 해도 최소한 상위권 실력이 아니면 교육비를 추가로 지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용돈 또한 저처럼 중고생 때부터 스스로 알바를 하는 것이 경제관념에 이득이 됩니다 그리고 보통 20살이 되면 자녀는 독립을 합니다 대학을 지원해 줄 필요도 없기 때문에 자녀가 알아서 살아야 되는 것입니다 자녀가 독립을 하면 부모는 노후 준비를 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크면서 용돈도 늘어나게 되고, 옷값, 식대, 과외비 등 현재 쓰는 비용보다 훨씬 많이 사용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등학교 이하일 경우 돈을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대출을 갚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릴때 모을 수 있다는 것은 보통 초등학교 입학전입니다. (저학년부터 사교육을 시작한다는 전제)
요즘은 초등학교만 들어가도 사교육으로 돈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아기일때 나라에서 일부 지원도 나오면서 그때 돈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학생일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녀의 교육 목표를 명확히 하고, 예상되는 교육비를 산출합니다. 목표 시점을 설정합니다. 매달 저축 가능한 금액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저축 계획을 세웁니다. 자녀 교육비 마련을 위한 별도의 통장을 개설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립식 펀드나 변액보험 등 투자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교육비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국민연금은 기본적인 노후 소득을 보장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꾸준히 납부하여 노후에 안정적인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개인연금은 국민연금 외에 추가적인 노후 소득을 마련하기 위한 상품입니다. 세액공제 혜택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개인연금 상품을 선택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노후 대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결국 소비를 제한하고 소득을 계속 늘리는 것이
노후 대책 중에 하나인 것임을 잊지 마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사교육을 안 시킬 수 없는 우리나라 교육 환경 상 애들이 크면 클 수록 들어가는 돈이 늘어나는건 어쩔수 없는 현실이라 생각합니다 결국 아껴야 그나마 좀 살만하겠죠
그래서 다들 남는 시간에 투잡도 하고 앱테크도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남는 시간에 앱테크도 하고 알바도 종종 하고 그러고 살고 있거든요 다들 그렇게 살다보면 좋은 날도 오겠죠!!!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자녀가 커 갈수록 돈이 더 쓰일수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아이가 어릴때 돈을 더 모으기 쉽다는 얘기를 많이하게 됩니다. 그래서 최대한 아이를 위해 쓰는 자금과 노후에 쓸 자금을 구분해서 계획적으로 축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적절히 자금을 분산시켜 빚을 갚고 자금을 모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일정 부분을 적금을 가입하시면 만기 시에 목돈을 모으실 수 있으므로, 조금씩이라도 적금에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이가 성장하고 나서 교육비 등의 지출이 더욱 커지기에 저학년일 때 금융상품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