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유망한황로76
유망한황로76

탈석유는 언제쯤 될까요? 아직인가요?

코로나 땐가 전인가 유가가 엄청 낮아졌을때가 있는데 그때 탈석유 때문 아닌가요?

아직 탈석유가 되려면 언제쯤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코로나 초기인 2020년 상반기에 원유값이 엄청 내려갔던 적이 있었죠.

      원인은 코로나로 인해 세계 원유 수요가 급감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원유 선물값이 0 이하로 내려가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탈석유 시대는 아직은 멀었다고 보여집니다.

      물론 전기차, 수소차, 친환경 에너지 등의 산업이 커지고 있지만

      아직은 석유 없이 경제가 돌아갈 수 없습니다.

      아무리 적어도 앞으로 30년 동안은 완전한 탈석유가 이뤄지진 않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석유에 대한 의존도 저하는 기후변화 및 환경적 측면에서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지난 100여 년간 형성된 석유 의존 체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이동하는 것은 산업과 경제 그리고 정치와 외교 영역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탈석유가 될 가능성은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탈석유와 관련하여 과거부터 석유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이 많았지만 이번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석유의 시대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당분간 20년 이상은

      석유에 의존적일 것으로 보이나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때 산업침체예상으로 유가가 떨어졌었습니다. 탈석유를 하려면 태양광, 풍력, 신재생등 대체에너지가 기존 석탄석유 에너지수요를 감당해야하는데 실제로 그러지못합니다. 가용성뿐만 아니라 경제성측면에서도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탈석유화를 위해서 각 정부들이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 그리고 다양한 대체 생산 수단이 효율성이 높아야 하는데 여전히 효율성이 너무 낮아서 석유를 대체할만한 동력이 부족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중국이나 유럽의 경우도 태양광 발전을 적극 장려했으나 효율성이 너무 떨어지다보니 비용만 낭비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문재인 정부 당시 태양광 발전에 많은 비용을 사용하였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한 상황입니다.

      정말 탈석유화 이야기는 10년이상 지속되어 왔지만 현실적인 대체가 아직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소한 20년이상은 되어야지 어느정도 대체작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