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1.03

비 구름이 하늘에 대기를 타고다닐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득 궁금해 지는데 비를 머금은 구름이 하늘에 떠다닐수 있는 과학적 원리가 무엇인지 어느정도 무게까지 떠다닐수 있는 건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자체도 지상의 수분이 증발하여 상대적으로 가벼운 상태로 있기 떄문에 대류에 흐름에 의해서 이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수증기 양이 어느정도 포화되면 비로 내리게 되며 이때는 대류에 흐름대로 이동이 어려운 상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방울은 공기중에 포화된 수분들이 뭉치면서 생기는것으로 상공을 돌아다니다가 온도가 낮아지면 비가되어 내려온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구름을 구성하는 물알갱이와 얼음알갱이들은 상승기류를 받아 공기중에 머무르게되고, 무거워지면 이 기류를 뚫고 지상으로 떨어지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를 머금은 구름이 하늘에 떠다닐 수 있는 과학적 원리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중력입니다. 구름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의 무게에 의해 하늘로 떨어지려는 힘이 작용합니다. 하지만 구름 안의 물방울들이 서로 붙어있어서 물의 무게가 분산되어 중력이 작용하는 힘보다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은 하늘에 떠다닐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구름이 하늘에 대기를 타고 다닐 수 있는 이유는 대기의 밀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대기는 지구의 표면에서부터 높이가 올라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는데 이는 공기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서로 밀집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름은 대기의 밀도가 낮은 상단부분에서 더 쉽게 떠다닐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비 구름이 하늘에 떠다닐 수 있는 무게는 구름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구름의 무게는 1톤 이하로 추정되며 이는 대기의 밀도와 구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를 머금은 구름이 하늘에 떠다닐 수 있는 과학적 원리는 중력 대기의 밀도 그리고 구름의 크기와 밀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를 머금은 구름이 떠다니는 원리는 구름 내부의 공기가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서 부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공기 중에서 응축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구름의 중심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름은 주로 대기 중에서 떠다니며, 구름 내부의 공기가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서 부력이 발생하여 떠다닙니다. 그러나 구름에 머금힌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일정한 무게를 초과하면, 구름 내부의 부력보다 더 무거워져 지면으로 떨어집니다.

    구름이 떠다니는 무게는 구름 내부의 공기 밀도, 구름의 크기, 공기의 상태, 대기압 등에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구름은 수 백 톤 이상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름의 무게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구름 내부의 부력보다 더 무거워져서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증발되어 올라간 수증기들은 공기중의 먼지나 기타 응결핵들에 달라붙어 액화 또는 얼음알갱이가 됩니다. 이들의 무게는 너무 가벼워 왠만큼 뭉치치 않고서는 상승기류에 의해 공중에 떠있게 됩니다.

    그러다가 달라붙는 물방울의 양이 많아져 구름이 충분히 두껍고 축축해지면서 무거워지면 비나 눈이되어 지상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미세한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수중기들이 서로 뭉쳐서 무게가 무거워 지면 지표면으로 떨어지는데

    0.1g 정도의 무게가 되면 지표로 떨어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하늘에 떠다닐 수 있는 이유는 공기의 부력 때문입니다. 공기의 부력은 공기의 밀도와 무게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밀도가 낮은 공기는 부력이 커지고, 밀도가 높은 공기는 부력이 작습니다. 구름을 구성하는 물방울이나 얼음덩어리의 밀도는 공기의 밀도보다 작습니다. 따라서, 구름은 공기의 부력에 의해 하늘에 떠다닐 수 있습니다. 구름이 떠다닐 수 있는 무게는 공기의 부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공기의 부력은 공기의 밀도와 무게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공기의 밀도가 높거나, 구름의 무게가 무거우면 구름은 하늘에 떠다닐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서 상승 기류나 바람의 영향을 받아 움직입니다. 상승 기류가 강하거나 구름이 높은 고도에 위치할수록, 구름이 더 멀리나 높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비 구름은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된 구름으로, 대기 중에서 상승 기류에 의해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