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영특한바다매53
영특한바다매5321.01.15

수소자동차의 원리에 대해 문의합니다.

현재도 자동차 업계는 미래자원, 환경을 고려하여

내연기관을 전기나 수소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제가 문의드리는 것은 수소 자동차는 수소만 넣으면

운행이 가능함은 물론 배출되는 것도 물이라도

알고 있는데 어떤 원리로 연료를 사용하고 물로 배출이 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소와 산소가 만나면 물이 만들어지며

    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방출되며

    방출된 에너지로 자동차를 움직임

    이렇게 움직이는 차가 "수소 자동차" 입니다.

    1. 수소 연료탱크에 수소(H2) 공급

    수소는 수증기에 천연가스(메탄)를

    혼합하면

    순수한 수소(H2)와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함

    ​2. 공기 중에서 산소(O) 흡입

    ​3. 수소 연료전지에서

    H2 + O2 = 물 + 전기에너지

    [수소가 수소 연료전지를 거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리]

    ​4. 구동모터에서

    전기에너지를→운동에너지로 변환

    ​5. 부산물로 순수한 물(H2O) 배출

    즉, 수소자동차는 배기통에서 물이 나온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04

    안녕하세요. 갸름한수염고래76입니다.

    화석연료에서 뽑아낸 수소 와 대기중의 산소를 반응시키면 물과 전기에너지가 만들어 집니다.

    이는 매우 효율적이고, 친환경 적입니다. 배출은 물론 배기가스대신 물만 배출 됩니다.

    복잡한 구조와 원리이지만 근본적인것은 수소와 산소가 만나 반응하고 이때 에너지가 방출 되는데 이를 이용 한다. 이렇게 생각 하시면 됩니다

    물만 있으면 수소자동차가 구동 가능한것은 아직 무리 입니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만들고 이 수소를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와 물을 만들고 이때 배출된 물을 모아 다시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만들고 하는 산화,환원반응의 반복 싸이클을 이용할수 있는 기술이 있고,이장치를 자동차에 부착할수 있다면 물연료 자동차가 가능 하리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