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

야생모기와 벌에 쏘이게 되면 다른점이 있을까요?

야생모기와 벌에 쏘이게 되면 다른점이 있을까요?

통증으로도 구별이 가능한지 아니면 보이는 외관상 상처부위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야생 모기에 물리거나 벌에 쏘이는 경우, 두 상황 모두 피부에 반응을 일으키지만, 증상의 성격과 강도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생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에서 기인합니다.
    모기는 피부를 관통하여 피를 빨아들이는 가는 주둥이를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모기는 항응고제(anticoagulant)를 함유한 침을 주입하여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주입된 침에 포함된 단백질은 인체 면역 체계의 반응을 유발하여 가려움, 붉은 발진 또는 부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모기 물림은 일반적으로 가려움증이 주된 증상이며, 심한 통증은 드물게 발생합니다.
    벌은 독침(stinger)을 통해 독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방어하거나 공격합니다. 벌에 쏘엿을 때, 독침이 피부에 깊숙이 박히면서 독소가 주입됩니다. 벌의 독에는 통증을 유발하고 세포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다양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즉각적인 심한 통증, 붉은 발진, 부기가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이 심각해질 수도 있습니다. 벌에 쏘인 부위는 뚜렷한 통증을 동반하고, 부기나 염증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모기의 경우 입을 이용하여 피부를 뚫고 혈액을 빨아들이는데 이 때 타액을 주입합니다. 이 타액은 혈액을 응고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어느정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합니다. 그래서 모기에게 물린 후에 통증은 잘 느껴지지 않으며 모기가 주입한 타액이 우리 몸의 면역계에 반응하여 물린자리가 가렵고 붓게 됩니다.

    벌의 경우 침을 이용하여 쏘는데 이는 벌들의 방어 기구이며 모기와 달리 독성 물질을 주입합니다. 이 물질은 고통과 염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모기에게 물렸을 때와 달리 매우 아픕니다.

    외관상으로는 둘 다 피부에 붓기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벌의 경우 종에 따라 쏘인 자리에 침을 남겨놓기도 합니다.

  • 모기에 물리면 주로 가려움증과 작은 부종이 생기며, 통증보다는 가려움이 특징입니다. 반면 벌에 쏘이면 순간적인 강한 통증과 함께 부어오르는 붉은 상처가 생기고, 벌침이 피부에 남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모기는 흡혈을 위해 살짝 피부를 뚫는 반면, 벌은 방어를 위해 독침을 사용해 쏘기 때문에 통증의 강도와 상처 모양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모기에 물린 자리는 주로 붉고 평평한 반면, 벌에 쏘인 자리는 벌침에 의한 작은 구멍과 함께 더 크게 부풀어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일단 야생모기는 피부 표면에서 흡혈하는 행위를 하며 무엇을 쏘지 않습니다. 벌 같은 경우, 독성이 강한 침이면, 쇼크가 올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모기에 물리면 작은 붉은 반점과 가려움이 생기고, 통증은 거의 없습니다. 반면, 벌에 쏘이면 부어오른 상처와 함께 강한 통증이 즉시 나타납니다. 벌침은 피부에 남을 수 있고, 모기와 달리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