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아프로아프로
아프로아프로

북한의 장마당도 경제 시스템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갑자기 유투브에서 북한의 장마당 세대에 대해서 듣고 있었는데, 이런 장마당도 하나의 경제 시스템으로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마당이란 북한의 경제난이 지속하고 심화되어서 나타난 북한 내부에서는 불법적인 시장의 기능을 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비록 북한 체제에서는 불법으로 규정되었을지는 몰라도 시장의 역할을하기 때문에 경제 시스템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왜냐면, 시장이라 하면 결국 재화의 교환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고, 장마당 역시 물물교환이건 돈으로 물건을 사건 간에 재화의 교환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해당 장마당에서 각종 물건 등이 거래가 되며

      이에 따라서 자본주의적 요소도 있으며

      경제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마당은 북한의 경제난이 심화됨에 따라 기존의 농민시장이 확대되면서 불법적 시장으로 그 성격이 변화된 1990년대 북한 시장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2003년 북한은 이 같은 불법적 장마당을 종합시장으로 합법화했다. 내용적으로 북한의 농민시장, 장마당, 종합시장은 경계와 구분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북한 주민들에게는 시장을 지칭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북한의 장마당이라는 것은 1990년대 중반이후 경제난이 심각해진 북한 사회에서 배급에만 의존할 수 없게 되면서 살아남기 위해서 장마당이 생겨났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이러한 장마당은 결국 대부분의 물건의 거래가 가능해지는 '자유 시장'에 해당하는 것이다 보니 사회주의 체제속의 작은 '자유시장'의 경제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인 거래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도 하나의 거래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마당이란 북한에 있는 모든 형태의 사장을 말하는데 장마당 세대란 배급제가 완전히 무너진 이후에 태어나 제대로된 배급을 경험한 바가 없고, 자신과 가정의 경제를 오로지 장마당에만 의존하여 생활을 유지하는 세대를 일컫는다고 합니다. 즉 명목상으로나마 공산주의가 유지되는 꼴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인 것입니다.

      1990년대 소련등의 공산 정권이 붕괴하고 자신들의 후견국이자 물주였던 소련이 사라진 이후 경제난이 심각해져, 여유물자가 부족해지자 북한 노동당 정부가 배급을 줄이기 시작했는데, 결국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자 배급제가 온전히 붕괴했지요. 그래서 북한 인민들은 당과 정부에 의존하기를 포기하고 장마당을 주 수입원으로 이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장마당 세대가 이 시기에 태어난 세대입니다. 장마당은 사실 자본주의에서 말하는 시장경제와 같은 시스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