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들마다 CDBC발행을 준비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암호화폐기사가 많아서 한번 읽어보다보니깐 각국에서 CBDC발행 준비를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도 준비를 하고 있는건가요?1원당 한개인건가요?
암호화폐처럼 변동성이 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중앙은행을 뜻하는 ‘센트럴뱅크(Central Bank)’와 디지털화폐(Digital Currency)를 합친 용어. 비트코인 등 민간 가상화폐와 달리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화폐를 뜻한다. 디지털화폐는 내장된 칩 속에 돈의 액수가 기록돼 있어, 물품 등을 구매할 때 사용액만큼 차감되는 전자화폐를 가리킨다.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지급 결제 관련 정보의 보관과 관리를 중앙은행이 운영하는 ‘단일원장방식’과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다수에 의해 분산 관리하는 ‘분산원장방식’이다. 또한 이용 목적에 따라 모든 경제 주체가 이용할 수 있는 ‘소액결제용’과 은행 등 금융기관만 이용할 수 있는 ‘거액결제용’으로 나뉜다. 거래 당사자의 익명성을 제한하거나 보유 한도를 설정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인구가 적고 현금 이용 감소에 따른 부작용 발생 우려가 있거나 금융 인프라가 완전히 구축되지 않은 국가들이 발행을 적극 검토 중이다.
한국은행과 정부가 CBDC를 실제 금융 거래에서 활용할 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본격적인 실험에 착수했다고합니다.
아래 기사 참고 바랍니다.
CBDC는 활용 범위와 사용 주체에 따라 '범용(retail/general purpose)'과 '기관용(wholesale)'으로 구분됩니다. 현금처럼 경제 주체들에게 직접 발행돼 일상에서 사용되는 것이 범용이라면, 지급준비금과 유사하게 금융기관에 발행돼 금융기관 사이의 자금 거래와 최종 결제 등에 활용되는 형태가 기관용입니다.
한국은행과 정부는 일단 기관용 CBDC를 기반으로 활용성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아직 관련 법·제도 정비가 되지 않은 만큼 참여 금융기관을 은행으로 한정하고 실거래 테스트도 예금토큰만을 활용해 제한적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한국은행이 기관용 디지털 통화를 발행하면 실험에 참여하는 은행들은 이와 연계된 지급결제 수단으로서 예금토큰을 발행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CBDC라고 하는 것은 중앙정부가 발행하는 암호화폐로서 사실상 기존의 법정화폐를 디지털화폐로 발행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현재 가상화폐와 다르게 가격 변동성이 있는 화폐는 아니에요
질문해주신 국가들마다 준비하는 CDBC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도 CDBC에 대해서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는 가상화폐와는 다르게 우리의 실질 화폐인 원화를 대체하거나 병용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화폐와 같은 변동성은 없습니다.
네 우리나라도 중앙은행에서 디지털화폐 발행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CBDC는 디지털 화폐로 1원당 1개의 디지털 원으로 발행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암호화폐처럼 변동성이 없고 기존 화폐와 가치가 똑같습니다. 주로 더 편리하고 안전한 결제를 목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한국 또한 한국은행이 CBDC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디지털 원화 발행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로, 현금과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전자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