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는 아니지만 동지에 대해 문의 합니다.
동지가 되면 행하는 풍습 중 하나가 팥죽을 먹는 겁니다. 근데 이 팥죽을 먹는 풍습이 우리나라에 언제 부터 시행이 됐을까요?
팥죽 색을 보면 불그스름 한데 피와 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짓날 팥죽을 먹는 풍습은 중국에서 시작됐고 우리나라에 언제 전래됐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지 못하나 고려말 학자 이색의 [목은집]에 팥죽에 대한 기록이 있으니 그 이전부터 먹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팥의 붉은색이 악귀를 쫓는다고 믿어 먹기 시작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차하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지 팥죽은 중국에서 온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요. 역귀가 붉은 색 팥을 두려워해서 동짓날에 팥죽을 먹고 역귀를 쫓아내는 풍습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이러한 풍습이 들어온 시기는 고려 시대 쯤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동지 유래
- 동지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길어 음이 극에 이르지만, 이 날을 계기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여 양의 기운이 싹 트는 사실 상 새해 시작을 알리는 것입니다. 중국의 역경에는 태양의 시작을 보고 복괘로 11월에 배치 하였습니다. 따라서 중국의 주 나라에서는 11월을 정월로 삼고 동지를 설로 삼았고, 이러한 중국의 책력과 풍습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동지날 팥죽을 끓어 먹는 이유는 귀신이 싫어하는 붉은 색 팥죽을 먹어 액운을 물리친다 라는 이유에서 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동국세시기에 동지팥죽을 먹는 풍습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재귀를 막고 건강을 지키는 의미로 팥은 민간에서 재앙을 막는 의식에 쓰이는 것이기도 합니다. 고려시대 동지사를 중국에 사절단으로 보내고 조선에서도 큰 행사였으니 적어도 동지팥죽은 고려시대에는 나타나지 않았을까 합니다. 통일신라 기록은 나타난 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