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산뜻한코끼리228
산뜻한코끼리22822.12.22

물속에서 왜 빛이 굴절이 일어나는 건가요??

물속을 보면 실제보다 가깝게 느껴지는 것처럼 보이는데요, 그게 빛이 굴절 되서 그런다고 하는데 왜 물속애서는 빛이 굴절이 일어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2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통과하는 매질이 공기에서 물로 변했기 때문에 굴절이 발생하게 됩니다. 빛은 진공상태에서 초속 30만km의 속도로 진행하고 공기중에서는 약간 속도가 느려지고, 물속에서는 약 3/4의 속도로 진행하게 됩니다. 이처럼 빛의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새로운 매질로 빛이 들어갈 때 빛의 입사각도에 따라서 진행방향이 바뀌게 되고 이것을 굴절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빛이 공기중에서 물속으로 들어갈 때 굴절이 발생하고 다시 물속에서 공기중으로 나올 때 굴절이 일어나기 때문에 물속 물체가 더 크게 보이거나 더 가깝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굴절이란 빛의 진행속도가 달라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즉 물질마다 원자의 배열상태가 다르고 그 다른 배열상태 내로 진입함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그 원인으로 인해 공기중에서 나아가던 빛이 물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굴절 현상이 나타나게 되죠.. 물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를 통과 할때도 굴절을 일으키게 됩니다.

    예를 들면 우주에서 오던 빛(태양광선, 별빛 등)도 대기를 통과하면서 굴절이 일어나죠~


    참고로 물속에서 가볍게(?)느껴지는것과 굴절은 크게 관련이 없으며 물속에서 물체가 가볍게 느껴지는것은 중력 반대방향으로 부력이 작용하여 물체를 띄우려고 하는 힘이 작용해서 그렇습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빛은 파장입니다.

    파장은 매질이 변화하면 속도가 변하게 됩니다.

    공기의 매질과 물의 매질 사이에서 매질의 변화로 인해 파장의 속도가 변하게 되어

    굴절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매질마다 다른 속도로 진행하기 때문에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비스듬하게 진행할 때는 그 경계면에서 진행 방향이 꺾이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굴절'이라고 합니다. 공기에서 물 또는 유리처럼 빛의 속력이 감소하는 매질로 들어갈 때는 입사각에 비해 굴절각이 작아지고 물 또는 유리에서 공기와 같이 속력이 증가하는 매질로 들어갈 때는 굴절각이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의 매질과 물의 매질이 다르기때문에

    빛이 물속에 들어가면 굴절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굴절이 일어나는 이유는 매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이 공기보다 밀도가 높아 굴절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매질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저희가 사는 일반 공기가 있는 곳은 공기라는게 매질이고요 물은 물이 매질이에요. 매질이란 것은 빛이 지나가는 공간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이 공간이 순식간에 달라지니까 굴절이 생기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