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푸르르름
푸르르름

태평양 등지에 쓰레기 섬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한반도 면적과 크거나 비슷한 쓰레기섬이 태평양에 형성이 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 바다로 투기된 쓰레기들이 특정한 지점에 잔뜩 모여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태평양의 쓰레기섬은 해양 쓰레기들이 특정한 지역에 모여 형성된 거대한 쓰레기의 집합체로서 한반도 면적보다 클 정도로 광범위하다고 알려져있으며 해양 순환의 패턴과 인류의 쓰레기 배출의 과정에서 나타나게 된것이지요.전 세계의 해류는 환류로 인하여 해류 순환시스템을 갖추게 되고 이들이 해양의 표면에 있는 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해주며 대기의 바람 패턴과 지구의 자전 등으로 원형의 순환사이클을 만들어내게 되는것이지요~ 태평양의 큰 환류인 북태평양 환류가 미국 서해안에서부터 일본까지 큰 순환을 일으키게 하고 이 과정에서 적도로 내려오면서 바다의 표면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같은 것들을 ㅈ우앙으로 끌어모으게 되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이곳은 해류가 약해지며 비교족 교요하게 물이 흐르기에 쓰레기가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모이게 되는것이지요. 대부분은 쓰레기섬에 플라스틱이 있으며 생분해되지않고 햇빛에 노출되면서 작은입자로 분해되며 바다를 떠ㄴ다니게 되고 이것들이 축적되어 쓰레기 섬을 만들게 된것이지요~ 해류는 바다에서 일어나는 모든 물질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는데 플라스틱이나 다른 해양 쓰레기는 해류에 의해 운반되며 넓은 바다를 떠다니면서 이동하게 하지만 특정한 지역에선 해류가 회전하며 쓰레기가 그곳에 갇히면서 나타나게 됩니다. 라스틱 쓰레기는 해양 생물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섭취하면, 소화되지 않아 죽음에 이를 수 있습니다. 특히, 거북이나 바닷새들이 플라스틱 쓰레기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플라스틱은 작은 입자(미세 플라스틱)로 분해되며, 이는 해양 먹이 사슬로 흡수되어 궁극적으로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물고기나 해양 동물이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면, 결국 이러한 물고기를 섭취하는 인간에게도 미세 플라스틱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