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재료공학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도자기를 만들 때 왜 보통 흙과 다른 석회토를 사용하나요?

도자기를 만들 때는 대부분 회색이나 탁한 갈색 흙을 이용해서 반죽을 한 다음 빚어서 여러가지 모양으로 만들잖아요.

옛날부터 흙으로 빚은 그릇을 구워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을 해왔더라고요.

밥그릇, 국그릇, 컵, 머그, 접시, 수저통, 꽃병 등 여러가지 제품을 만들 때 활용하죠.

도자기를 만들 때는 왜 보통 흙과 다른 재질의 석회토를 사용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석회성분이 들어간 흙을 사용하는 이유는 열에 의해서 다른 성분의 흙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겉에 유약을 바를때 석회성분이 들어가면 유약성분이 석회성분과 반응하여 더욱 잘 고착되기 때문입니다.

    석회토의 경우 탄산칼슘이 들어간 석회석, 백운석 등인데 강도 뿐 아니라 도자기 색상을 밝게 만들어 주어 추후 색을 입혀서 원하는 색상을 쉽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도자기를 만들 때 석회토를 사용하는 이유는 일반 흙보다 불에 강하고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석회토는 유약과 잘 반응해 도자기의 표면을 매끄럽고 단단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밥그릇이나 컵처럼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용기에 적합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