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수족구의 감염경로는 어떻게 되나요?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이 3~4일전부터 수두에 걸린 10개월 아이와 접촉 없이 함께 지냈는데요. 이런 경우라도 감염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두 아이 모두 몸에 붉은 반점이 하나둘 보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어렸을 때 수두예방접종은 모두 끝마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수두나 수족구등의 질환은 다른 여러 감염성 질환과 비슷하게 다양한 경로로 전염될 수가 있는데, 대표적인게 호흡기 비말감염입니다. 따라서, 같은 공간에서 생활했다면 직접 접촉이 없다라도 전염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수두는 전염성이 매우 높긴하지만 예방접종을 다 했다면 전염가능성이 낮겠습니다. (수두 예방접종 1회는 70% 예방, 2회는 98% 예방이라는데,, 한국의 무료접종은 1회만 하기때문에,, 그런 경우라면 전염가능성 있을거 같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수두는 전염력이 아주 강한 병이에요. 직접 접촉이 없어도 공기를 통해 전파될 수 있어요. 예방접종을 했다고 해도 100% 예방되는 건 아니라서 걸릴 수 있어요. 하지만 예방접종을 한 경우엔 증상이 훨씬 가볍게 나타나요. 붉은 반점이 보이기 시작했다면 이미 감염된 것 같네요. 아이들을 격리하고 충분히 쉬게 해주세요. 가려움증 있으면 오트밀 목욕이 도움돼요. 열이 심하거나 물집이 많이 생기면 병원 가보는 게 좋겠어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수두 예방접종을 받았더라도 약하게 수두를 앓을 순 있으나 붉은 반점이 수두가 맞는지는 진찰이 필요하겠습니다.
수두 환자와의 직접 접촉 외 수두 물집에서 나오는 진물 등을 통해 원인균이 체내로 들어옴으로써 전염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수두의 일반적인 감염 경로는 보통은 호흡기를 통한 비말 (작은 분비물)로 감염되거나 병변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감염이 되는 경로가 있습니다. 수두백신을 접종한 경우 한 차례 접종 시에는 약 80~90%의 예방률을 보이고 있으나 완전히 예방이 되지 않을 수 있고, 다만 증상의 경우 백신접종을 안한 경우보다 경증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추후 자제분들의 수포양상을 지켜보시어 붉은 반점이 늘어나는 양상이면 이에 대한 치료를 소아청소년과에서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수두 예방접종을 했기 때문에 전염의 가능성은 떨어지겠습니다. 붉은 반점이 수두 병변이 맞는지 확인이 필요하겟습니다.
10개월 아이의 경우 12-15개월에 수두접종을 하는데 접종전에 바이러스에 노출되어서 감염이 된 상황으로 보이네요.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침, 대/소변, 신체적 접촉 등의 직접 접촉이나 ,
수건/식기 등을 통한 간접 접촉 모두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심하시더라도 , 가능성이 0 이 되기는 어렵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바이러스가 점막을 통해서 몸에 침투하게 되고
감염을 일으킵니다.
피부병변이 있는 동안은 전염력이 있다고 보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