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17

IRP에서 최대한도록 위험자산의 포션을 가져가려면 어떻게 하는것이 가장 좋을까요?

IRP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IRP는 위험자산 대비 안전자산 비율이 70:30을 유지해야 해서, 위험자산을 70이상 투입할 수 없는데요.

사실상 위험자산에 100%를 투입하고 싶으나 이 룰때문에 어쩔수 없이 채권형에 30%를 투자하고 있는데, 혹시 위험자산에 최대한으로 투자할 수 있는 팁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경섭 경제전문가blue-check
    이경섭 경제전문가23.10.17

    안녕하세요. 이경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IRP는 계좌성격상 위험자산을 전체 자산의 70프로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개별상품별로 위험도 계산 시 반영되지 않는 TDF 비중을 조절하면 70프로 가이드라인을 맞추기 쉽습니다.


    TDF상품이 위험도 계산에서는 제외되나 2050등 주식비중이 높은 상품에 가입하여 시장수익을 추종하실 수도 있습니다. 2025등 연도는 주식투자에서 채권투자로 전환하는 시점으로 연도가 낮으면 주식비중이 낮고 채권비중이 큽니다.


    연도선택시 연령별로 선택하지 마시고 주식비중을 조정하는 용도로 탄력적으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궁금하신 것은 댓글 주시면 답하여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IRP는 노후를 대비하기 위한 연금성 상품이기 때문에 위험자산의 포지션은 추가적으로 늘릴수 없도록 되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irp 안전자산 중에서 주식혼합형 ETF 또는 TDF 등이 있고

    이를 통하여 주식 등 위험자산의 한도를 조금이나마 더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