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떡뚜꺼삐
떡뚜꺼삐

공부하다라는 표현은 학문이나 기술 등을

공부하다는 工夫라고 쓰고 훈으로 보면 工장인공,夫지아비부라고 되어 있네요.

공부하다의 뜻은 학문이나 기술 등을 배우고 익히는 것이라고 하는데 기술이 들어 있으니 工은 이해 되지만 夫는 왜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감동스러운알알이51
      감동스러운알알이51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 夫는 원래 성인 남자를 나타내는 단어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대저" 또는 "대체로"라는 뜻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공부(工夫)란 대체로 어떤 일에 온 힘을 쏟아붓거나 노력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무술이나 기예를 익힐 때 집중적으로 연습하고 훈련하는 과정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의미 때문에 현대 중국어에서도 여전히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부라는 것은 공부의 한자어 조합은 백화문으로 기록된 당나라 선승들의 어록에서 처음으로 확인되는데, 당시에는 做工夫(주공부)와 같은 형태의 숙어로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불법을 열심히 닦는다는 뜻으로 사용되었고 현재까지도 사용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장인 공(工)자, 사내 부(夫)자에서 부는 지아비부 혹은 사내 부 라고도 해석 가능 합니다. 즉, 예전 에는 여잗ㄹ이 공부하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여자들은 보통 집안에서 집안일을 하는 경ㅇ가 대다수 였으니까요. 그래서 공부 하다는 약간은 페미니즘적인 여소가 섞여 있다고도 할수 있지만 남자들이 하는 것이 공부 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에 대해 여러 설이 있는데 하나는 중국 무술의 한 종류인 쿵푸라는 한자에서 功자에서 力이 빠져 工夫가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불교의 주공부라는 용어에서 나왔다는 설로 주공부는 시간과 노력을 들여 불법을 닦는다는 뜻으로 사용되었는데 여기서 공부라는 말이 나왔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