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나애오
나애오

며칠전에 피검사 관련해서 글 올렸는데 궁금한게 더 생겨서 질문 올립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25
기저질환
없음

1달 전 내과 검사 결과입니다

자세히 설명을 드리자면 소변에도 백혈구가 검출 되었고 염증반응이 있다 하였습니다

간수치, 신장수치, 당뇨수치, 지질관련 (콜레스테롤)은 다 정상이였고 혈액검사가 저렇게 나오더라고요

일단 그래서 1달 전에 검사지를 받고 얼마 안되서 비뇨기과를 방문하였더니 요로감염이라고 하시더라고요

대장균과 유레아플라즈마파붐균이 있다고 말씀해주셔서 항생제 치료 일주일하고 4일 정도 한 뒤에 다 치료되었고 역류성 식도염도 있어서 그것도 약 먹고 괜찮아졌습니다 내과에서 1달 뒤에 재검사 해보자고 말씀하시더라고요 그 당시 혈액검사는 자세히 설명을 안해주셔서 제가 검색을 좀 해봤는데 몸에 염증이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수치가 올라갈 수 있다고 나오더라고요 혹시 원인이 위에 적어둔 염증들 때문일까요? 곧 검사 하러 갈 예정이긴 한데 무섭고 불안한 마음에 질문 올려봅니다 ㅠ 수치가 내려가있을까요...

혈액 검사

WBC 백혈구 12.7

RBC 적혈구 5.11

헤모글로빈 13.5

Hematocrit 43

MCV 84.1

MCH 26.4

MCHC 31.4

혈소판 483

N.Segment 71

Lymphocyte 25

Monocyte 3

Eosinophil 1

Basophil 0

여기까지가 며칠전에 쓴 글이였구요 내일 검사 하러 가려는데 궁금한게 있어서요 요로감염과 역류성 식도염때문에 수치가 올라간 게 맞을지, 그리고 그 염증들로 인해 혈소판 수치가 483까지 올라갈 수 있는 정도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피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 증가와 염증 반응이 관찰된 상황은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요로감염이 있었고, 그로 인해 백혈구 수치가 상승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트레스 역시 백혈구 수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직접적인 원인은 감염과 염증으로 보입니다. 혈소판 수치 상승은 염증 반응의 일부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감염 상태에서는 면역 반응의 일환으로 혈소판 수치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다른 염증 상태도 일부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피검사 수치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요로감염과 같은 직접적인 염증 상태에 의한 것입니다.

    재검사를 통해 현재 상태를 다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치료 후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다른 모든 수치가 정상화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불안감이 있으시겠지만, 이전 치료가 효과가 있었던 점으로 보아 긍정적인 결과가 기대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요로감염과 역류성 식도염이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백혈구(WBC) 수치와 혈소판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혈소판 수치가 483까지 상승한 것은 염증이나 감염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반응으로, 과도한 염증에 의한 것일 수 있죠. 하지만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 검사 결과와 함께 담당 의사의 평가가 필요하므로 병원에서 자세한 상담을 받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감염 및 염증 등의 요인에 의하여 일시적인 혈소판 수치의 상승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추적관찰을 하며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요로감염이 영향을 주었을 수 있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관련성이 다소 떨어져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