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모던한날다람쥐15
모던한날다람쥐1523.02.05

바닷물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는 흔히 바다는 파랗다라고 표현하는데요 바다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우리 눈의 착시때문인가요 아니면 바닷물의 특정성분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5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파란 이유는 하늘이 파란색이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하늘이 보이지 않는 수영장의 물도 파랗게 보이기 때문에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합니다. 바닷물이 파란색인 이유는 파장이 다른 빛들이 바닷물을 통과할 때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의 빛이 먼저 흡수되고 파장이 짧은 파란 계열의 빛들이 나중에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바닷물 속으로 들어온 파란색 계통의 빛들이 산란되고 반사되기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오는 빛의 파장중에 파란빛이 흡수되지않고 산란되기때문에

    하늘이나 바다가 파랗게 보이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방식 때문에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햇빛이 바다에 들어가면 물에 흡수되어 표면으로 다시 반사되는 빛의 양이 줄어듭니다. 그러나 바다의 물 분자와 입자는 남아 있는 빛의 일부를 모든 방향으로 산란시킵니다. 바다의 파란색은 파란색 빛이 다른 빛의 색보다 파장이 짧고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다른 색보다 쉽게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햇빛이 바다를 관통할 때 더 많은 푸른 빛이 수면으로 다시 산란되어 물이 파랗게 보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파랑은 다른 색보다 바다 속 깊이 침투하여 바다가 깊을수록 더 파랗게 보입니다.


  • 수심이 깊은 바다를 통과하는 빛은 파장이 긴 붉은색 계열이 안쪽으로 흡수되어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만 표면으로 반사되어 인간의 눈에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가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많은 양에 물이 빛이 산란되면서 짙은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