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잠이나
잠이나

바코드는 어떤 정보를 담고 있나요

이제 대부분의 상품들에는 바코드가 있는데 이러한 바코드에 담겨있는 정보에는 무엇이 있는 것인가요? 또한 이러한 바코드가 쓰이게 된 시점은 언제부터였고 한국에 도입된 것은 언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자연지기
      자연지기

      바코드에 담긴 정보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KAN 코드는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에서 부여하는데 표준형 13자리와 단축형 8자리가 있다. 표준형코드의 13자리는 국가코드(3)+제조업체 코(46)+자체상품코드(53)+검증코드6) (1)로 구성되어있다. 제조업체코드와 자체상품코드 해당 숫자 개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두 코드에 해당하는 수는 아홉 개 이다. 단축형 코드는 국가코드(3)+제조업체 코드(3)+자체상품코드(1)+검증코드(1)로 크기가 표준형보다 약간 작아서 인쇄 공간이 부족하거나 표준형 코드 사용이 부적당한 경우에 사용한다.

      한편 출판물에는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13자리가 쓰이는데 이 번호는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헌번호센터 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이는 상품코드와 번호부여방식에 차이가 있다. 번호체계는 유통분류용번호(3자리)-국가(2자리, 우리나라는 89 임)-발행자번호 및 서명식별번호(7자리)-검증번호(1자리)로 되어있다.

    • [바코드의 탄생]

      바코드는 1948년 미국 필라델피아 드렉셀 공과대학의 대학원생인 버나드 실버(Bernard Silver)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우연히 식품체인점 업계에서 자동으로 상품정보를 읽을 수 있는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실버는 이 소식을 친구 우드랜드(Norman Joseph Woodland)에게 이야기하면서 결국 현재의 바코드를 발명하고, 1952년 ‘분류 장치와 방법’이란 특허를 냈다. 그들이 생각해낸 바코드 체계의 핵심은 일종의 이진법 표시체계였다.

      [바코드의 구성]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KAN 코드는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에서 부여하는데 표준형 13자리와 단축형 8자리가 있다. 표준형코드의 13자리는 국가코드(3)+제조업체 코드(46)+자체상품코드(53)+검증코드6) (1)로 구성되어있다. 제조업체코드와 자체상품코드 해당 숫자 개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두 코드에 해당하는 수는 아홉 개 이다. 단축형 코드는 국가코드(3)+제조업체 코드(3)+자체상품코드(1)+검증코드(1)로 크기가 표준형보다 약간 작아서 인쇄 공간이 부족하거나 표준형 코드 사용이 부적당한 경우에 사용한다.

      한편 출판물에는 국제표준도서번호(ISBN) 13자리가 쓰이는데 이 번호는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헌번호센터 에서 관리하고 있는데 이는 상품코드와 번호부여방식에 차이가 있다. 번호체계는 유통분류용번호(3자리)-국가(2자리, 우리나라는 89 임)-발행자번호 및 서명식별번호(7자리)-검증번호(1자리)로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