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털털한북극곰75
털털한북극곰7523.08.27

프로모터에 돌연변이가 나타나면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어떻게 되고 왜 그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우선 전사인자 단백질이 결합해야할 프로모터를 인식하지 못해서 유전자 발현이 방해되는건 쉽게 예상할수 있고 반대로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거나 과발현 될수도 있나요? 만약 가능하면 어떻게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다양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돌연변이는 프로모터 영역의 DNA 서열을 변경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사인자 단백질의 결합이 방해되거나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전사인자 단백질이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부위가 변경되면, 단백질의 인식이 어려워져 유전자 발현이 방해될 수 있습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전사인자 단백질과 프로모터 간의 상호작용이 강화되거나 약화될 수 있습니다. 강화된 결합은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고, 약화된 결합은 유전자 발현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돌연변이는 프로모터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전사인자 단백질의 결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변경된 프로모터 구조는 유전자 발현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유전자의 발현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돌연변이가 어떻게 작용하느냐에 따라서 발현이 억제되거나 촉진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몇 가지 예시를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

    1. 프로모터 결합 부위의 변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DNA 부위인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발현을 조절합니다. 돌연변이로 인해 프로모터 결합 부위에 변화가 생기면 전사인자의 결합이 어려워져 발현이 억제될 수 있습니다.

    2. 전사 인자 결합 강도 변화: 돌연변이로 인해 프로모터 결합 부위의 DNA 서열이 변경되면 전사인자와의 결합 강도가 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발현이 강화되거나 약화될 수 있습니다.

    3. 조절 요소 추가 또는 제거: 돌연변이로 인해 새로운 조절 요소 결합 부위가 생성되거나 기존의 조절 요소 결합 부위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유전자 발현이 활성화되거나 억제될 수 있습니다.

    4. 프로모터의 크로마틴 구조 변화: 돌연변이로 인해 프로모터 영역의 크로마틴 구조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엑세스 가능성이 변하게 되어 발현이 촉진되거나 억제될 수 있습니다.

    5. 미스매치 리페어: 돌연변이로 인해 DNA 서열이 변경되면 미스매치 리페어 메커니즘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의 돌연변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전자의 기능과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8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프로모터에 돌연변이가 나타나면 해당 프로모터의 기능과 조절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모터는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해 필요한 DNA 서열입니다. 돌연변이는 DNA 서열의 변화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모터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