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비가 오고 다음날이 되면 지렁이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가 많이 내린 날 다음날이면 많은 지렁이들이 지상으로 올라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지렁이는 비가 오고나면 왜 많이 올라오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비가 오는 날이면 많은 지렁이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이유는, 폐호흡을 하는 인간과는 다르게 지렁이는 '피부호흡'을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입니다. 원래 지렁이는 땅 속에서 서식하는데요, 평상시에는 땅 속에 구멍이 많기 때문에 공기층으로부터 산소를 피부로부터 받아들여 호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가 많이 오게 되면 땅 속 구멍이 모두 물로 막히게 되는데요, 이로 인해 더 이상 공기층이 없어지게 되면서 호흡을 하기 위해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비가 오면 지렁이들이 지상으로 올라오는 이유는 토양 속 산소 부족 때문입니다. 비로 인해 흙 속의 공간이 물로 채워져 산소가 부족해지면, 지렁이들은 숨쉬기 위해 지상으로 나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들이 물에 잠기지 않고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생존 전략 중 하나입니다. 지렁이들은 땅 속에서 살아가는데, 물에 잠기면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지상으로 올라와서 물기를 피하려고 합니다.

  •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주된 이유는 호흡때문입니다.

    비가 오면 땅속에 물이 많아져 흙 속의 공기가 부족해집니다. 지렁이는 습한 환경에서 살지만, 피부호흡을 하고 있고 숨을 쉬기 위해서는 공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숨을 쉬기 위해 땅 위로 올라오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지렁이가 살고있는 굴에 비로인해 물이 차면 밖으로 나오게됩니다.

    또한 지렁이는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생물입니다.

    건조한 환경은 지렁이의 몸에서 수분을 쉽게 뺏을 수 있고,

    햇빛의 경우 이를 가속화하고 화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렁이는 비가오는 중에 주로 활동을 합니다.

    굴의 위치를 옮기거나, 짝짓기를 진행합니다.

    다만 비가 그치고나면 곧 땅 속으로 들어갑니다.

    비가 그친 후 땅을 팔 수 없는 곳으로 이동한 지렁이들이

    끝내 땅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말라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