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

과거시험에서 시간은 어떻게 알았나요?

과거를 볼 때 시간을 무한정 주지는 않았을텐데 시험의 시작 시간과 끝 시간은 어떻게 알았나요? 남은 시간이 얼마나되는지는 어떻게 알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식년시, 증광시의 답안지는 인정(밤9시) 까지 제출해야 하고 당일로 합격자를 발표하는

    춘당대시, 알성시, 정시(庭試) 등은 그때마다 시간을 정해주었는데 보통 2∼3시간 이내에

    제출해야 했다. 시험시간 종료는 종으로

    알렸는데 시험관이나 수험생이 못 듣는 사례가 많아 숙종 39년(1713) 부터는 북을 두드려서 시간을 알렸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시험은 아침 일찍부터 시작해 저녁 늦게까지 행해져 시간적으로 여유는 있었으나 제한된 시간안에 빨리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경우 초를 세워놓고 불이 다 탈 태까지 답안지를 제출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무과의 경우 구멍이 뚫린 물통에 물을 채우고 출발과 함께 벨브 개방, 물통에 물이 완전히 빠질 때까지 뛰고 얼마나 많이 뛰었는지 거리를 재는 방법을 썼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 시험의 식년시, 증광시의 답안지는 인정(밤9시) 까지 제출해야 하고 당일로 합격자를 발표하는 춘당대시, 알성시, 정시(庭試) 등은 그때마다 시간을 정해주었는데 보통 2∼3시간 이내에 제출해야 했다고 합니다. 시험시간 종료는 종으로 알렸는데 시험관이나 수험생이 못 듣는 사례가 많아 숙종 39년(1713) 부터는 북을 두드려서 시간을 알렸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