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국채인데 장기물이냐,단기물이냐에 따라 등락의 폭이 엄청 크게 차이가 나는 경제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현재 일본의 국채의 경우
2년물, 3년물만 20% 넘게 떨어졌고
5년, 10년, 30년 이런 것들은 1%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았는데
같은 나라의 국채인데도
장기물과 단기물의 변동성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되는 경제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른 국가의 국채들이라면 모르겠는데
같은 국가의 국채임에도 기간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는 근본적인 경제적 이유에는 어떤 것들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것들을 근거로 경제적 평가가 달라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같은 국채라도 장기물과 단기물은 이자율과 수익률이 다르기 때문에 등락폭이 크게 차이납니다. 장기의 경우, 이익을 얻기 위해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등락폭이 더 큰 반면, 단기의 경우 이자율과 수익률이 낮기 때문에 등락폭이 작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국채기준으로 단기는 보통 2년물을. 장기를 10년에서 30년 물을봅니다.
단기 채권은 기준금리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기준금리를 따라가고 10년물 이상은 기준금리보다도 시장경제 전망 움직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채금리 장기물, 단기물의 금리차이는 기간에 따른 변동성ㅈ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채의 경우에는 단기채는 변동폭이 심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단기채에 비해서 장기채의 경우에는 변동폭은 크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단기채에 비해서 높은 금리를 유지하게 되요
단기채라는 것은 단기적인 경기침체에 대한 예상치를 근거할 수 있다면 장기채에 대한 것은 단기채의 금리 기조가 어느정도 유지될지 혹은 경기침체의 정도가 어느정도 장기로 유지될지에 따라서 금리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가 잘못 알고 계신거 같습니다 채권은 -20프로 이렇게 빠질일은 없어요 금욜기준 일본국채는 2년 10년 다 강세였구요 2년물 -5bp 10년 -9bp 정도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