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내내근사한크랜베리
내내근사한크랜베리

인공수평선과 실체 비행선의 방향이 반대인 이유

제가 인공수평선에 관해서 함수를 이용하면서 표현했는데 실제 비행선의 조종 방향과 반대로 나옵니다. 지피티한테 물어보니

"인공수평선이 조종석의 관측 좌표계를 기준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기체의 운동 좌표계와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는 데에서 비롯된다. 즉, 기체가 왼쪽으로 기울 때 관측자 입장에서는 기준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며, 이 차이는 좌표계 기준의 정의에 따른 부호 반전으로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유는 관측 좌표계와 운동 좌표계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이다." 이런식으로 설명하는데 이게 맞나요?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Chat GPT의 설명은 핵심을 잘 짚어주었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그 설명이 맞습니다.

    인공수평선은 비행기 자체의 움직이 아니라 조종사 눈에 보이는 지평선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그렇게 설계되었습니다. 조종사는 비행기 안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행기가 왼쪽으로 기울면 실제 바깥 풍경의 지평선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보이는 것처럼, 인공수평선도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만든것입니다.

    즉, 비행기의 움직임(운동 좌표계)과 조종사의 시점에 보이는 외부 풍경(관측 좌표계)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그렇게 표시되는 것이랍니다.이는 조종사가 직관적으로 비행기의 자세를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할수있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이유는 간단 합니다. 인공 수평선의 표시 방향이 반대인 이유는 기체의 움직임이 초점이 되는 것이 아니라 지평선이 움직이는 것 처럼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