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이 금리를 동결했다고 들었는데 그에 따른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한국은행이 금리를 2.75%로 동결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금리를 동결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른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은행이 금리 동결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한국 은행은 이번에도 금리를 2.50퍼센트로 동결하게 됩니다.
일단, 금리가 동결되면 장점으로는 현재의 경제 상황이 유지되는 것이지만
반대로 단점으로는 금리 인하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악재로
작용하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낮아짐에 따라 한국은행에서는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금리를 동결하게 되면 우선 시중에 화폐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2.75%가 아니라 2.5%라는 점 정정드립니다. 5월에 한차례 내린이후 현재 2.5%로 금리를 동결한것입니다. 결국 지금은 가계부채와 그리고 다시 높아진 환율을 경계하는 측면에서 금리를 동결한것입니다 함부로 금리를 내렸다간 가계부채가 지금 GDP대비 210%인데 즉 2000조가 훌쩍넘는 상황에서 이런 리스크가 더 커지고 자칫 원화가치가 더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하면서 동결한 측면이 강합니다.
또한 지금도 절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아니기 때문에 경영환경측면이나 대출금리 측면에서도 크게 리스크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으나 향후 금리를 인상을 안함으로써 물가관리의 어려움은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동결로 향후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더 커지면 안되고 금리차이가 더 커지게되어서 환율이 올라가게되면 수입물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압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동결의 의미는 현재 경기 상황과 물가 상황을 고려하여 올리거나 내리는거 보다 현 상황이 유리함을 얘기합니다.
시장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금리 변동에 따른 물가 변동 부담을 완화하며 물가 안정과 경기 상황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금리동결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점으로는 경기 회복이 늦어질수 있으며 부동산 시장 활성화도 지연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 8월 기준금리 3.50% 시작으로 현재 동결해서 2.50% 1년동안 1프로 인하를 했습니다
기본적으로 기준금리 인하 시기죠 기준금리를 인하한다는건 경기가 안 좋아서 내수 부양을 위해서 한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구요
기준금리 인상을 하는 경우는 경기가 좋아서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니 기준금리를 올려서 시중 자금을 흡수해서 물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큰 틀로 보면 기준금리 인하는 경기가 안 좋아서 경기부양을 위해서 하고 기준금리 인상은 경기가 좋아서 물가가 오르니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수단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이 가져다주는 장점으로는 가계부채 확대 및 부동산 과열을 억제할 수 있고, 은행 건정성을 조금이나마 회복할 수 있으며, 국제 금융시장에서 한국의 신용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면, 단점은 금리동결로 인해 경제 회복이 더뎌질 수 있으며, 기업의 투자와 개인의 소비가 위축되며 경기 침체 우려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