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인류 뇌가 어느시기부터 조금작아지게 되고 원인이 무엇인가요

인류뇌가 과거 어느시기부터 조금 작아지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작아진 시기가 무엇인지 궁금하며 그리고 그 원인을 무엇으로 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직접사냥과 과일채집같은 활동이많아 위기에 대비하는 능력이 필요했지만, 현재는 점점 안정화된삶을 살아가기때문입니다.

    뇌라는조직은 포도당을 굉장히많이쓰는조직이라 계속 크기를 유지하면 에너지손실이 너무크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직접사냥을하거나 채집활동을해야하기에

    빠른판단력과 기억력이 필수적이었지만

    현대사회로 오면서 기록기술과 사회적인 집단지성, 집단기억등이

    발달하면서 굳이 불필요한 뇌크기를 유지할만한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인류의 뇌 크기는 약 3천 년 전부터 작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농경 생활과 집단생활로 인해 뇌의 역할이 분산되었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현생 인류의 뇌 크기는 약 1만 년 전 신석기 시대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정확한 시점을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농경 사회의 시작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지만, 주된 원인으로는 식량 생산 방식의 변화와 사회적 구조 변화가 꼽힙니다. 수렵 채집 사회에서는 높은 지능과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이 생존에 필수적이었지만, 농경 사회에서는 기존처럼 다양한 문제 해결 능력보다는 반복적인 농사일 수행 능력이 중요해졌습니다. 이는 뇌의 크기가 생존에 필요한 수준으로 유지되면 충분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사회적 협력이 증가하면서 개인의 지능보다 집단 지능의 중요성이 커진 점도 뇌 크기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뇌 크기 감소가 인지능력 저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뇌의 구조적 변화나 기능적 효율성 변화 등 다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