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하마스와 파타는 서로 갈등이 심할텐데 전투나 소규모 접전은 없나요?

하마스와 파타는 같은 팔레스타인 지역이지만 서로 다른 지역을 통치중인데요.

왜 서로 갈등이 심한지 이로인하여 전투나 소규모 접전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마스와 파타는 모두 팔레스타인의 정치 단체로, 각각 이슬람주의와PLO의 계승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두 단체는 2006년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대립하였으며, 이후 파타와 하마스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하였습니다.

      2006년 총선에서 하마스가 승리한 이후, 파타는 하마스와 통합 정부를 구성하기를 거부했습니다. 이후 2007년 가자지구에서 파타와 하마스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하마스가 가자지구를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이후에도 두 단체는 서로 갈등을 이어가고 있으며, 2023년에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파타와 하마스 간의 전투나 소규모 접전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편, 팔레스타인의 대이스라엘 무장 투쟁을 지원해왔던 아랍 국가들이나 사우디아라비아는 국내 정치, 특히 경제 발전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면서 이스라엘과 관계 개선을 도모하고 있어 팔레스타인을 더욱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팔레스타인의 파타와 하마스는 서로 갈등이 심해 전투나 소규모 접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2021년 5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발 로켓 공격으로 이스라엘군이 보복 공습에 나서면서 무력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슬로 협정 이후 1994년 팔레스타인 파타당의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의 수장이었던 야세르 아라파트, 이스라엘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는 협상으로 PLO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로 승격하나 2004년 야세르 아라파트 사망 이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서 2005년 하마스와 파타의 관계는 갈수록 악화, 분열되었고 야세르 아라파트 이후 정치인이 된 마흐무드 압바스는 무능하고 부패했습니다.

      2006년 1월 25일 결국 분쟁이 터졌고 2007년 6월 10일~ 15일까지 가자 지구에서 내전이 일어나 하마스가 가자지구의 운영을 장악해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으며 2007년 10월~ 2008년 1월까지 새 충돌이 일어났고 2008년 예멘 사나에서 협정을 맺어 잠시 내분 휴전시켰씁니다.

      2008년 12월 부터 2009년 1월까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하마스를 토벌하겠다고 폭격했을 당시 파타가 하마스와 잠깐 동맹을 했으나 2009년 1월 이후 다시 파타와 하마스 사이의 갈등이 나타나면서 분쟁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2010년 팔레스타인 시민들이 두 세력 사이의 전쟁을 반대하는 시위를 열기도 했고 이는 2011년에도 나타납니다. 아랍의 봄 이후 이집트 시위의 영향으로 팔레스타인 시민들도 다시 파타와 하마스에 시위를 하여 겨우 분쟁을 다시 막았고 파타와 하마스도 내분을 더 이상 유지하지 않겠다고 선언, 그 이후에도 두 세력간의 마찰과 갈등이 진행중이었고 2018년 ~2019년 두번째 아랍의 봄이 일어나자 수단, 알제리의 영향으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도 3워 하마스의 강압적인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를 열었고, 파타고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시민들을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마스와 파타와 같은 경우에도

      2006년 1월, 하마스가 팔레스타인 국회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정권을 잡았으며

      이에 대한 파타의 반발로 인해 파타와 하마스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충돌도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팔레스타인들은 유대인들의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으로 돌아가자는 운동)으로 살고 있던 땅을 반강제적으로 빼앗기고 유랑생활을 하다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결성하여 타협을 통해 두 지역을 자치지구로 할양받게 됩니다. 다만 이 자치지구는 완전한 독립적 지위를 갖지 못한째 이스라엘의 통제를 받아야 했습니다. 서안지구와 가자지구 두 곳입니다. 이 두 지역을 파타정부가 관할하고 있었으나 팔레스타인 군벌정당이자 무장단체인 하마스는 압도적인 지지로 가자지구에서 통치권을 확보하였습니다. 팔레스타인들의 자존심과 독립을 가져다 줄 대안세력으로 하마스를 선택한 것입니다. 그러나 생각한만큼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 것은 상대적으로 이스라엘이 강력한 무기와 전투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대하기 버거운 상대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