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 한방향을 바라보는 현상 태양을 바라보는 현상을 뭐라고 했었죠?
식물이 한방향을 바라보는 현상 태양을 바라보는 현상을 뭐라고 했었죠? 예전에 배웠떤 기억이 있는데 기억이 안나요 ㅠㅠ 3글자였떤것 같은데 혹시 뭐라고 표현했죠?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굴광성'이란 빛의 자극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말하며, 크게 양성굴광성과 음성굴광성으로 나뉩니다. 이때 말씀하신 것처럼 식물이 태양의 빛을 향해 바라보는 경우는 '양성굴광성'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뿌리와 같이 빛의 반대 방향으로 굽는 성질은 '음성굴광성'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식물이 광원에 따라 굽어자라는 현상을 굴광성이라고 합니다.
잎과 줄기는 광원쪽으로 향하는 양성 굴광성,
뿌리는 반대로 향하는 음성 굴광성을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혹시 기억하려는 단어가 '굴광성'은 아니신가요?
굴광성이란 빛의 자극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라는 뜻으로 햇빛의 방향에 따라 식물의 줄기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식물이 한 방향, 주로 태양을 향해 자라는 현상을 일컬어 '등광성(Phototropism)'이라고 합니다.
'등광성'은 '빛을 향한다'는 뜻으로, 식물이 광원을 향해 성장하거나 움직이는 생리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는 식물 호르몬 중 하나인 옥신(auxin)의 작용으로 빛이 강한 쪽의 세포 신장이 억제되어 발생합니다. 그 결과 식물체가 광원을 향해 굽어지거나 기울게 됩니다.
등광성은 잎과 줄기 등 여러 기관에서 관찰되며, 특히 유묘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식물은 이 현상을 통해 효율적인 광합성을 위해 최적의 광환경을 찾아갑니다.
따라서 '등광성'은 빛 방향에 대한 식물의 지향적 반응을 뜻하는 전문 용어입니다.
식물이 태양을 향해 움직이는 현상을 일중운동이라고 합니다. 식물의 일생동안 특정 시간 동안 태양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말하며 해바라기 같은 일부 식물에서 뚜렷하게 관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