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과학자들은 빛의 속도를 어떻게 알아냇나요 ?
옛날 과학자들은 빛의 속도를 어떻게 그당시 기술력으로 알아낼수있었는지 궁금합니다 . 지금 현대기술이 발전은 더 했을지 몰라도 천재들은 과거에 더 많았던것같네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00년대 초에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는 시도를 했는데 두 사람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랜턴을 사용하여 빛을 보내고 받는 방식으로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 했습니다! 빛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결론에 도달했으며, 그의 실험 장비로는 빛의 속도를 측정할 수 없음을 인식했습니다. 그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지만,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는 최초의 시도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후 덴마크의 천문학자 올레 뢰머는 1676년에 목성의 위성 이오의 식이 지구의 위치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했고 그는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빛의 속도가 유한하다는 가설을 세워 측정하였는데 목성에서 이오의 식이 지구가 태양에서 멀어질 때 지연되는 것을 관찰했고, 이로부터 빛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그는 빛의 속도를 대략적으로 214,000 km/s로 계산했으며, 이는 실제 빛의 속도(299,792 km/s)와 매우 근접한 값으로 측정하게 된것이지요~ 과거의 과학자들은 현대 기술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으로 중요한 과학적 발견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철저한 관찰과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과학적 지식을 발전시켰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자하시고 좋은하루 되셨으면 좋겠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