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알티스
알티스

공모주 첫날 상한선/하한선 너무 큰거 아닌가요? 왜 이렇게 높게 만든거죠?

공모주 첫날 상한선/하한선 너무 큰거 아닌가요? 왜 이렇게 높게 만든거죠?

어제 엠83의 경우, 만약 상투에 잡았다면.. 거의 하루만에 반토막날수 있는.. 이건 도박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위와 같은 경우에는 공모주가

    해당 주가에 부합하게 적정 가격을 찾도록

    이에 따라서 상한선과 하한선에 대하여

    상장 첫날에는 한도를 상당히 넓혀놓았다고 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첫날 상한선과 하한선이 큰 이유는 초기 거래 시 투자자들 기대와 시장 수요 공급에 따라 주가가 급격히 변동할 수 있는 상황을 반영하기 위함입니다.

    주식의 공정한 가격 발견 과정을 도와주고 첫날의 가격 변동성을 수용하기 위해 상하한폭을 넓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큰 변동폭은 투자자에게 큰 리스크를 안길 수 있고 실제로 엠83과 같은 사례에서 하루 만에 주가가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이유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첫날 상한선과 하한선은 주식의 가격 변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설정됩니다. 상한선은 주가가 급등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한선은 급락을 막기 위해 존재합니다. 이러한 가격 제한은 시장의 과열이나 비이성적인 거래를 방지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장치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첫날 상한선과 하한선이 높게 설정되는 이유는 주식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공모주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경우 주가가 급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급등락을 완화하고 투기적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지나친 투기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손실을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공모주 투자는 높은 변동성과 정보 부족으로 인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상장 초기에는 주가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단기적인 시세 차익을 노리는 투자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모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기 때문에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신중히 평가해야 합니다.

    공모주 투자 시 기업의 사업 내용, 재무 상태, 공모 자금 사용 계획, 업계 전망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하며, 공모주는 고수익의 기회와 동시에 큰 손실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사전 조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전에는 상하한가가 똑같이 30%였지만 대신 시작가를 두배로 할수 있었습니다. 근데 이렇게 되니까 두배로 시작해서 그 뒤로 오를수 있는게 30%밖에 안되니까 쉽게 30%되고 그 다음날까지 30%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풀어버리면 어떻겠냐 이거입니다. 대신 시작은 공모가로 출발하구요. 그러면 시작가에서 2배이상되는 경우가 거래중에서는 쉽지 않겠다 싶었는거 같습니다.

  • 일단은 개인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목적을 다 하고 있는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기존에 가격제한폭 200%는 동시호가 단계부터 쉽게 걸려서 일반 투자자가 사기도 어려워 기관이나 외국인이 첫날(따), 둘째날(따상) 다 사들인 뒤 매도하는 형태가 반복되어 늘린것입니다.

    지금 봐서는 2~3일에 걸쳐서 일어나던 일이 그냥 하루만에 일어나는 정도로 밖에 개선된것 같지는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별점 5점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공모주 상장 당일 상한, 하한 제한이 너무 큰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공모주이기에 투자자들에게 인센티브를 더 제공해서

    더 많은 투자자가 공모주에 들어오도록 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이렇게 큰 변동 폭을 허용하는 이유는 초기 시장에서 가격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입니다.

    주식 시장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며, 첫날에는 많은 투자자들이 거래에 참여하기 때문에 주가가 급격하게 오르거나 내릴 수 있습니다.

    이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큰 수익을 얻을 기회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공모주 첫날의 상한선과 하한선이 크게 설정된 이유는, 시장에서 주식의 적정 가치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공모주가 상장되는 첫날, 주가는 많은 변동을 겪게 됩니다. 이유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주식의 실제 시장 가치가 결정되기 때문이에요. 첫날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넓게 설정함으로써, 시장은 그 주식이 적절히 평가될 수 있도록 더 큰 범위에서 거래를 허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주가가 첫날에 바로 적정 가격에 수렴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논리입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큰 폭의 변동성은 투자자들에게 리스크를 안겨줍니다. 말씀하신 엠83의 경우처럼, 상투에 매수한 투자자는 단 하루 만에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공모주 첫날 거래가 매우 변동성이 크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사실상, 이는 도박에 가까울 정도로 리스크가 크다고 느낄 수 있죠.

    결국, 공모주 첫날의 상한선/하한선이 크게 설정된 것은 시장에서 주식의 가치를 빠르게 찾으려는 의도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그만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변동성이 큰 공모주에 투자할 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고, 특히 첫날 거래는 단기적인 큰 변동성을 염두에 두고 투자해야 합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