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전기차 화재 발생 시 기존 소방장비와 대응체계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한가요?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을 때 많은 소방인력과 장비가 동원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전기차 화재 발생 시 기존 소방장비와 대응체계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한지 아니면 별도의 장비나 시스템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자동차 화재의 대응에 있어서 기존 소방 장비와 체계만으로는 다소 한계가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전기차 내 배터리 화재는 그 특성상 전통적인 소화 방법과 장비로는 충분한 대으이 어려우며, 이는 배터리의 구조적 특성과 화학적 반응에서 기인합니다.
    전기차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열될 경우 열적 폭주 현상을 일으키며, 이는 내부적으로 자가 촉진적인 화학 반응을 유발하여 지속적인 고온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화재는 전통적인 물이나 거품 소화기로는 진화가 어렵고, 오히려 물과 반응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켜 추가적인 폭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차 화재는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냉각시키거나, 특수 화학 소화제를 사용하는 등의 특별한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전기차 화재의 경우 재발화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일단 화재가 진압된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필요한 경우 장시간 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부 소방서에서는 전기차 전용 소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특수 설계된 대응 프로토콜과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기존 소방 인프라의 개선과 함께 소방대원들의 전문 교육이 필수적이며, 전기차 화재에 특화된 장비와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는 전기차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전기차 화재에 대한 기존 소방장비와 대응체계는 한계가 있으며, 전용 장비의 도입이 필요합니다. 전기차 화재는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폭주로 인해 진압이 어렵고, 기존 소방호스로는 효과적인 진압이 힘듭니다.

    소방청은 전기차 화재 진압을 위해 특수 노즐, 이동식 수조, 질식 소화포 등의 전용 장비를 도입하고 있으며, 무인 소방로봇 개발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장비들은 초기 진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장비로는 충분한 대응이 어려운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