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8.07

고려시대 왕자들 중에서 승려가 된 사람이 많다던데, 왜 그런 것인가요?

고려시대에 태어난 왕자 중에서는 유독 승려가 된 사람이 많다고 들었는데요. 왜 왕족으로 편하게 안살고 승려가 되었을까요? 당시 종교적인 이유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시대에는 왕과 궁녀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를 '소군'이라고 불렀습니다. 소군은 왕비가 낳지 않았기에 왕자 대접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들은 반드시 승려가 되게했는데 그 이유는 적자와 서자를 뚜렷하게 구분하기 위해서였다고합니다.

    서자 출신의 왕자를 강제로 승려로 만들어 감히 왕위를 넘보지 못하게 궁 밖으로 내친 것입니다. 궁 안에 두었다가는 왕위를 위협하는 일이 일어날지도 모르기때문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왕자가 승려가 된 이유는 강제로 승려를 만들어 왕위를 넘보지 못하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었습니다.

    즉 적자와 서자를 뚜렷하게 구분해 서자 출신의 왕자가 왕위를 넘보지 못하도록 궁궐 밖으로 내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