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아기 자다가 깼을 때 배고픈건지 다른 이유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살짝 깨서 보챌 때 다시 잠드는지 5분정도 지켜보고 그래도 안잠들면 쪽쪽이 물려서 5분정도 지켜보고 그래도 안되면 그 때 수유하면 될까요? 만약 이게 틀린거면 어떤 방법이 있나요?
(애기가 배고파서 깬건데 쪽쪽이로 잠연장 시켜버리는건 아닌지 걱정돼서요..)
애기가 자다 깨는 이유가 뭔가 불편한게 있는거 말고는 없죠? 불편한 이유가 배고파서, 어디가 아파서, 열이나서, 빨기 욕구 이런거로도 깰 수 있나요?
깨는 다른 이유도 있다면 어떤 경우가 있나요?
어떤 애기던 밤잠 자다가 배고프면 무조건 우나요? 쪽쪽이로도 당연히 충족이 안되겠죠? 낮처럼 똑같이 배고플 때 물리면 뱉고 더 울고 하나요?
애기가 배가 고파서 깬건지 다른 이유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자다 깼을 때 필수로 확인해봐야할게 있나요? (ex 기저귀 샜는지, 체온 등)
아기가 밤에 깨어날 때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배고픔, 수면 자세나 환경의 변화, 온도 및 습도 조절 실패, 꿈 꾸기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생후 3개월 된 아기들은 아직 소화기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밤에도 종종 배고픔을 느껴 깨울 수 있습니다. 이때는 아기가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적절한 양의 분유 또는 모유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밤에 깨어났을 때 대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아기가 정말로 배고파하는지 확인하세요. 아기가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며 손을 빠는 행동을 하거나, 울음소리가 크고 날카로울 경우에는 배가고픈 것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아기가 천천히 약하게 울거나 하품을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피곤하거나 졸릴 수도 있습니다.
아기가 배고파한다면 즉시 우유를 먹이세요. 하지만 너무 많이 먹이면 오히려 숙면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양을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배고프지 않다면 일단 잠시 동안 지켜보세요. 아기가 스스로 다시 잠들려고 노력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재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계속 보채거나 우는 경우에는 기저귀를 갈아보거나 옷을 가볍게 벗겨보는 등 주변 환경을 체크해 보세요. 때로는 단순한 불쾌감이나 가려움증 등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아기가 여전히 보채거나 운다면 쪽쪽이를 물려줄 수도 있지만, 이것이 습관화되면 나중에 수면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만약 아기가 지속적으로 밤에 깨어나거나 달래지지 않는다면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기마다 개인 차이가 있으며,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인내심을 갖고 아기의 특성에 맞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개월 아이의 경우 신생아 단계이기 때문에 잠을 많이 깨는것이 당연하다고 합니다. 보통의 신생아들은 짧은 사이에 폭풍적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성장통을 많이 느낀다고 합니다. 이때 아이들은 잠을 깊게 들지 못하고 깨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배가 고파서 잠을 깨는데 이는 성장하는데 에너지는 많이 소비가 되는데, 위가 작기 때문에 우유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한정적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오줌이나 똥을 싸서 불편해서 잠을 깨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작성자님이 매우 정확히 잘 알고 계신 듯 합니다. 아이가 우는 것은 몇가지 이유가 정해져 있으므로 빨리 파악해서 그 원인만 제거 된다면 울음을 그치겠죠. 밤중수유의 경우는 차차 줄여야 통잠을 잘 수 있는 것이니 아이의 발달 상태를 살펴보시고 배고프다고 새벽에 무조건 수유하는 것보다 차차 줄이는 것을 생각 해보세요.
아이가 잠에서 깨는 이외에는 수만 가지 이유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그 중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것은 배가 고팠을때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그리고 기저귀를 갈아달라고 하거나 또는 방안의 온도가 너무 덥거나, 건조하거나 또는 혹은 어떤 특정한 소리가 아이의 잠을 깨우거나, 콧물이나와서 코바 불편해서 입니다.
만약 쪽쪽이를 물려줬는데도 아이가 뱉어내고 계속 운다면 배고플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부분의 아기들은 자신만의 생활패턴을 만들어가며 생활합니다. 아이의 하루 생활들을 빠짐없이 기록해나가시다보면 그 패턴이 보일겁니다. 그러면 왜 그러는지 보통 답이 나오는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