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하루 휴가내고 남해로 놀러 왔는데..
간만에 와이프와 데이트겸 나들이차 반차,내일 휴가를 내고 남해 바닷가로 바람 쐬러 왔는데 오는 길에 섬과 섬을 연결하는 대교를 건너오는데..이 웅장한 다리를 건설할때 중간중간 바다위에 교각은 어떻게 세웠을까 궁금했습니다. 물살도 세고 바람도 세고 하루 수천 수만대의 차들이 다니는데 아무런 미동도 없이 떡하니 바다위에 세워져 있다는게 신기하면서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도대체 바다위 교각은 어떻게 세울까요?
바다 위 교각은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일반적으로 수심, 해상환경, 파란 파도, 바람, 조류, 해일, 해일 등의 요소가 고려됩니다.
먼저, 교각이 설치될 위치의 수심을 고려해야 합니다. 물 속에서 바닥에 닿는 기둥의 길이와 직경, 그리고 기둥과 교각 구조물 간의 거리 등이 수심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바다 위 교각은 바람, 파도, 조류 등의 해상환경에 대한 내구성을 고려하여 설계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바다 위 교각의 구조는 강력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강철 등의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또한 교각 구조물은 바다와의 접촉 부분이 적도록 설계하여, 파란 파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마지막으로, 바다 위 교각 설치 전에는 상세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특히, 지반 특성, 지진 및 해일 위험성, 해양 환경 등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각 지역의 지방 자치 단체 및 관련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세부적인 설계와 조사를 수행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은 작업할 부분의 물을 박는 방법입니다. 공사할 부분을 확보하고 공사한 후 다시 다른쪽도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하는것이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위 교각은 일반적으로 해상 구조물로, 바다나 해상에 세워지는 구조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구조물을 설계하고 건설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조사와 설계 해양 건축물 설계 시, 먼저 설계 목적에 따라 해양 및 지형 조사를 수행합니다. 그리고 최적의 설계를 위해 강도, 안전 여유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세부 설계를 진행합니다.
시공을 위한 기반 조성 바다위 교각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다바닥을 토사하고 시공할 곳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육지와 바다를 연결하는 다리나 적재지를 마련하고, 먼저 해저 지형을 조사하고 해저 기반부를 설치합니다.
부유체, 기둥 등 제작 및 설치 설계와 기반 조성이 완료된 후에는, 제작한 부유체나 기둥을 설치합니다. 이를 위해 선박, 구명보트, 구조선 등을 이용하여 해당 부품들을 실려 바다 위로 옮기고,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바다 위에 설치합니다.
교각 상부 구성 부유체나 기둥이 설치된 후에는, 이를 이용하여 교각 상부를 구성합니다. 이를 위해 건물, 차선 등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합니다.
안전 점검 모든 구성 요소가 설치되면 안전성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바다위 교각은 악천후, 파도, 해일 등 자연 재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성 검사는 특히 중요합니다. 따라서 해양 건축물 설계 및 건설에는 고도의 기술과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 위의 교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설치됩니다.
사전 조사: 교각을 설치하기 전에 지반 조사, 해상환경 조사, 풍속 조사 등을 실시하여 설치 가능성과 안정성을 확인합니다.
설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각의 구조와 크기, 설치 방법 등을 결정합니다.
제작: 교각을 제작합니다. 교각의 재질은 바다의 수온, 염분, 파도, 해류 등에 대한 내구성과 호환성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수중 설치: 교각을 수중에서 직접 설치합니다. 이때는 크레인이나 수중 작업선을 이용하여 교각을 바다 위로 올려 설치하거나, 수중 다이빙 작업을 통해 설치합니다.
안전 검사: 교각 설치 후 안전 검사를 실시하여 안정성을 확인합니다. 이후 교각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유지 보수와 정기 검사를 실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