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조용한타킨206
조용한타킨206

6세 아이가 매일같이 12시~1시경만 되면 갑자기 일어나서 소리를 지르고 뛰어다닙니다.

6세인데 아이가 새벽쯤 되면 갑자기 일어나 소리를 지르고 뛰어다니고 막 울다가 30분쯤 지나면 다시 자고, 다음날이 되면 아무일도 없었다는 듯 기억조차 못하는 현상이 반복됩니다. 처음엔 더워서 그런가 하고 이불도 치워보고 뭘 해도 안되고 늦게,빨리 자게 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청렴한멧토끼14
      청렴한멧토끼14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아이 말씀해주시는 것으로 보아 소아 야경증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진단기준을 간략하게 알려드리면


      A. 대개 주요 수면 삽화의 초기 1/3 동안에 발생하며, 돌발적 비명과 함께 급작스럽게 잠에서 깨는 반복적인 삽화가 있다. 각 삽화 동안 심한 공포와 동공산대, 빈맥, 빈호흡, 발한 같은 자율신경계 반응의 징후가 있고, 삽화 동안 안심시키려는 다른 사람의 노력에 비교적 반응하지 않는다.

      B. 꿈 이미지를 전혀 또는 거의(예, 단지 시각적 한 장면) 회상하지 못한다.

      C. 삽화를 기억하지 못한다.

      D. 삽화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E. 장애가 물질(예,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F. 공존하는 정신질환과 의학적 장애가 야경증 삽화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야경증 [sleep terror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4세에서 12세 사이에 아이들이 중 1%~3%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추신경계의 발달이 미숙한 아이들에게 생기는 것으로 초등고학년으로 갈수록 점차 사라집니다.

      발작,경기,간질과 아무 관련이 없고요, 그로 인해 정서나 성격 면에서 문제가 생기지도 않으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가 깨면 다칠만한 것이 없게 바닥을 치워주시기 바랍니다.

      낮동안에 스트레스가 있다면 일시적으로 그럴수도 있습니다. 낮동안에 이완할 수 있는 활동들을 가정에서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쪼록 우리 아이의 건강한 발달을 저도 바라겠습니다.

      함께해주시는 부모님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잠결에 일어난 행동에 부모님들은 많이 놀라셨겠어요

      아이가 잠결에 한 행동을 기억을 못한다면 야경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만 3~4세 이후 남자 아이들에게서 잘 나타납니다

      부모님께서는 안아주면서 안정을 시킨 뒤 다시 재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황하지 않은 부모님의 안정적인 모습이 중요합니다

      심하게 걱정하는 모습은 아이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기 때문에 아이에게 전날 밤 있었던 일들에 대해 이유를 캐묻거나 전날 밤 일을 되새기는 질문 등은 하지 않는 것이 습니다.

      아이가 비슷한 시간대에 야경증 현상을 보인다면 증상이 보이기 몇 십분 전에 미리 깨운 뒤 다시 재우는 인지 교육으로 야경증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몽유병 증상이 의심되는 상황입니다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 및 진단을 받아 보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라고 생각이 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