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재단 측의 요청으로 상장폐지가 가능한건가요?
보통 특정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를 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거래량이 극히 낮거나, 프로젝트의 영속성이 떨어진다거나 하는 안좋은 이유에서 시작하는 케이스가 대부분일텐데요.
특정 암호화폐의 재단 측에서 향후 전략적 도모를 위해 거래소측에 상장폐지를 요청하고,거래소가 그것을 수용하는 형태가 가능한 것인가요?
이것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를 심각히 위배하는 행위라고 생각하는데, 몇몇 케이스가 있어서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사실상 현존하는 거래소 모두가 다 탈중앙화에 심각하게 위배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더 근본적인 질문을 갖습니다. 블록체인 자체는 탈중앙화가 맞으나 지금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는 대다수의 코인들은 이미 그 발행 주체가 있고 그것을 여러 형태로 sale하고 있으며, 사실상 그 주체들 자체가 그 코인의 전체적인 권환을 쥐고 있는 말그대로 해당코인에 대해 중앙화된 권력집단이라는 얘기입니다.
이는 결국 블록체인의 온전한 탈중앙화개념이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 됩니다.
결국 블록체인 기술 자체가 분산장부를 통한 장부거래의 투명성이 탈중앙화라는 단어가 어울리게 했을뿐 그 외에 모든것은 중앙화될 수 밖에 없는 운명이라고 봅니다.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실제로 몇몇 암호화폐 개발사에서 거래소 측에 요청하여 스스로 상장 철회를 하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최근의 블OO의 사례도 그러하고 말입니다.
이러한 개발사의 독단적인 결정은 말씀하신 것처럼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와 맞지 않는 행위가 맞습니다. 왜냐하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라는 것이 개발할 때는 개발사의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지 그것이 운영이 되고 참여자들이 생겨나기 시작하게 되면 더 이상 개발사만의 것이 아니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발사가 '상장 철회'라는 큰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커뮤니티와의 지속적인 의견 교환을 통해서 합의점을 찾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상장 철회 후 앞으로 어떤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지에 대해 커뮤니티의 지지를 얻는 과정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발사 자체적인 상장 철회 결정 후 공지 글을 통해 입장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밝히기도 하지만 그러한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결정이 되고 통보하는 것은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ICO를 통해 투자금을 모금하지 않은 개발사의 경우에는 다른 개발사 보다는 나을지도 모르겠지만 상장을 하게 되면 해당 코인을 갖고 있는 투자자들이 생기기 마련이므로 이 역시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사례들이 일반화된 것은 아니며 이런 프로젝트들은 그냥 두더라도 상장 폐지를 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들이 대부분이므로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전체에 주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이런 사례들로 블록체인이 추구하는 탈중앙화에 대한 노력들이 전부 부정당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블록체인이 탈중앙화를 완전히 달성했다고 단언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다만 탈중앙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입니다. 탈중앙화, 보안성, 확장성 이 세 가지를 트릴레마라고 하여 동시에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로 보고 있는 것도 그렇고 탈중앙화와 거리가 먼 일들이 종종 일어나고 있는 것들도 아직 탈중앙화를 달성하기까지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탈중앙화를 저해하는 몇몇 사례들이 있고 그것이 문제가 되더라도 앞으로 블록체인이 발전하면서 탈중앙화를 추구하며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면, 또한 현실에서 법이나 제도들이 정비되면서 개발사들에 대한 법적 책임과 의무를 분명히 규정한다면 블록체인이 탈중앙화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