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산뜻한아비34
산뜻한아비3423.01.03

정수기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집에서 정수기를 설치하면 물이 정화 되면서 먹을 수 있는 물로 되는데

정수기는 어떻게 그렇게 가능하게 되는지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3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수기의 정수방법입니다.

    역삼투압 방식은 삼투 현상을 역으로 활용한 정수 방식입니다

    • 삼투현상이란:반투막(분리막)을 사이에 두었을 때,농도가 진한 쪽으로 물이 이동하는 것

    이때 농도가 높은 쪽에서 압력을 가해주면,반대로 농도가 낮은 쪽으로 물이 흐르게 돼요!

    ​그 방식을 활용해 녹물과 미생물을 거르는데,물 속의 미네랄까지 걸러져쉽게 산성화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중공사막 방식 :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하는정수 방식입니다

    • 중공사막 필터:가운데는 구멍이 뚫려져 있고그 주변으론 아주 미세한 구멍들이 있는

    섬유의 다발로 이루어져 있는 필터.

    이러한 중공사막 필터의미세한 구멍 속으로 물이 들어가면박테리아나 대장균 같은 여러 가지 유해 물질이구멍을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깨끗하게 정수가 된답니다.​

    하지만, 녹물을 완벽히 걸러주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중공사막 정수 방식의 단점이죠.

    마지막으로, 양전하 방식이 있죠!

    양전하 방식이란?

    말 그대로 섬유 필터에 양전하(+)의 속성을 부여해 정전기 작용을 일으켜 바이러스를 포함,음전하를 띠는 물질들을 걸러내는 방식

    양전하 정수 방식을 이용하면 몸에 이로운 미네랄을 남겨주고 알칼리성을 포함한다는 점,

    낭비하는 물이 적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지하수를 사용할 때는 사용이 어렵고중금속을 완벽히 걸러주는 것이 어렵다는 점,관리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든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 정수기는 삼투압의 원리로 물을 깨끗하게 합니다.

    물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이것을 삼투압이라고 합니다.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이동하는 것은 [역삼투압]이라고 합니다.

    정수기는 역삼투압을 이용해서 가운데 삼투막을 만들어 강한 압력을 가하게 합니다.

    이때 삼투막에서 불순물이 걸러지고 깨끗한 물만 나오게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