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

성층권 이후에서도 인간이 호흡 가능한가요??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인간이 호흡하기 힘들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은거 같은데 사실인가요?? 성층권 위에서 인간이 기구의 도움없이 호흡이 가능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인간이 호흡하기 힘들어지는 이유

      는 크게 두 가지 요인 때문입니다.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대기압은 감소합니다. 대기압이

      감소하면 폐에 들어오는 산소량도 감소하여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해발 고도 3000m에서는 지표면 대기압의 약 70%

      수준입니다. 이는 평지보다 산소량이 30%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에베레스트 정상에서는 지표면 대기압의 약 33% 수준입니다.

      이는 평지보다 산소량이 67%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적응하지 않은 사람은

      심각한 고산병을 겪을 수 있습니다.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대기의 산소 농도도 감소합니다.

      산소 농도가 감소하면 혈액으로 공급되는 산소량도

      감소하여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해발 고도 12000m 해발 고도 12000m에서는 지표면

      산소 농도의 약 50% 수준입니다.

      이는 평지보다 산소량이 절반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인간은 기구 없이는 생존할 수 없습니다.

      성층권 위 호흡 가능성

      성층권은 지표면에서 약 50km까지 이어지는 대기층입니다.

      성층권에서는 대기압과 산소 농도가 매우 낮아 인간이 기구 없이

      호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기압 성층권의 대기압은 지표면의 약 1% 수준입니다.

      이는폐가 팽창하기에 너무 낮은 압력입니다.

      성층권의 산소 농도는 지표면의 약 2% 수준입니다.

      이는 인간이 생존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산소량입니다.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대기압과 산소 농도가 감

      소하여 인간은 호흡이 어려워집니다.

      성층권 위에서는 기구

      없이 호흡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