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구 대기에서 인간이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이는 어느정도 되나요?

인간이 지구 대기중에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이는 어느정도까지 인가요?

얼마나 높이까지 올라가면 산소가 거의 없어지기 시작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아리따운솔개286
    아리따운솔개286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론 8000미터가 넘어가면 산소부족등의 현상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산소통이나 체력, 방한등이 잘 갖추어 진다면 좀더 높이 올라갈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론 8000미터 정도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의 높이는 대략 100km 정도인 케르맥층까지 이어집니다. 그러나 인간이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이는 대기압이 낮아지는 고도로 제한되며, 대기압이 낮아질수록 산소 밀도가 낮아져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존 가능한 최대 고도는 8,000m 이하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 질수록 대기의 양이 희박해지면서 대기압과 산소량이 떨어집니다. 예를들어 8,000m 이상의 고도에서 산소 농도는 21% 이하로 감소하고 18,000m 이상에서는 대기압이 1/6 이하로 감소하고, 산소 농도도 1/6 이하로 감소합니다. 산소농도가 이정도 수준으로 떨어진다면 인체의 기능이 심각하게 떨어져 생존이 힘든 상태가 됩니다. 즉 대략 18000m가 한계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