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대기에서 인간이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이는 어느정도 되나요?
인간이 지구 대기중에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이는 어느정도까지 인가요?
얼마나 높이까지 올라가면 산소가 거의 없어지기 시작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론 8000미터가 넘어가면 산소부족등의 현상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산소통이나 체력, 방한등이 잘 갖추어 진다면 좀더 높이 올라갈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론 8000미터 정도라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의 높이는 대략 100km 정도인 케르맥층까지 이어집니다. 그러나 인간이 살아남을 수 있는 높이는 대기압이 낮아지는 고도로 제한되며, 대기압이 낮아질수록 산소 밀도가 낮아져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존 가능한 최대 고도는 8,000m 이하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 질수록 대기의 양이 희박해지면서 대기압과 산소량이 떨어집니다. 예를들어 8,000m 이상의 고도에서 산소 농도는 21% 이하로 감소하고 18,000m 이상에서는 대기압이 1/6 이하로 감소하고, 산소 농도도 1/6 이하로 감소합니다. 산소농도가 이정도 수준으로 떨어진다면 인체의 기능이 심각하게 떨어져 생존이 힘든 상태가 됩니다. 즉 대략 18000m가 한계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