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정말평온한푸들
정말평온한푸들

낙동강 녹조가 심각하다고 합니다. 그 원인이 뭘까요?

녹조와 관련된 이야기는 진짜 옛날 4대강 사업 할때부터 계속해서 이어져 왔습니다.

그렇게 강조하고 정부에서 대처를 해 왔지만, 결국 또다시 달성군 고령보 일대 낙동강이 녹조 현상으로 인해 초록빛을 띠고 있다는 기사가 나오네요.

녹조가 생기는 원인, 그리고 그것을 원천적으로 없앨 수 있는 방법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녹조가 생기는 원인으로는 높은 기온과 충분한 일사량의 조건으로 하천에선 공장폐수와 농업 비료, 축산분뇨 등으로 인해 질소와 인 같은 영양분이 과다하게 유이되어 조류가 대량으로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강의 유속이 느려지게 되면서 물이 고여 산소가 부족해져 조류 번식하기에 좋은 조건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장 폐수와 생활하수 및 농업 오염원을 철저히 관리하고 하수처리 시설을 확충하며, 보 개방을 통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물의 정체를 줄이고 유량을 늘려 수온 상승은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고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녹조는 주로 인과 질소 등 영양염류가 과다하게 유입될 때 발생합니다. 비료, 생활하수, 축산분뇨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또한 기온 상승과 수온 증가, 정체된 수역도 녹조를 악화시킵니다.

    원천적으로 녹조현상을 막기 위해선 오염원 유입 차단과 자연정화능 회복이 필요합니다. 근본적 해결은 친환경 농업

    확대와 하수처리 강화로 가능하다고 하는데 논란의 여지가 많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영남지역의 젖줄인 낙동강의 녹조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더운 날씨가 더워 수온이 높고 물 흐름이 없어 가축분뇨 등 오염물질이 유입되면서 낙동강에 온통 녹조가 발생한 원인입니다. 원친적으로 녹조를 없애는 것보다 예방이 최선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환경부는 축사나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확충, 가축분뇨 바이오가스화 설비 확대, 공공하수처리장 방류수 기준 강화 등으로 오염원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낙동강 수질관리체계를 갖추기 위해 가축분료 차단과 4개 지점에서 운영중인 조류 경보제 취수구 위치를 조정하고 물 흐름이 될 수 있게 보개방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