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행성X로 취급되는, 태양계에서 9번째 행성의 존재가설 가능성이 사라졌다는 주장의 진위는?

소위 말하는

행성 X 또는 플래닛 X 로 불리는

해왕성 너머에 존재할 거라는 미지의 행성은

19-20세기 초에 , 천왕성 해왕성 궤도에서 뭔가 이론적 오차가 발견되고.

그 오차를 설명하려면 결국 해왕성 궤도 바깥쪽에

미지의 거대한 천체가 있어야 한다고 일단 가정을 했던 부분입니다.

그런 취지에서 계속적인 관측으로 명왕성이 발견되었지만

사실 너무 작은 질량의 천체로 말미암아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 오차가 설명 불가했는데요.

20세 말 이 후 즈음, 카이퍼 벨트나 장주기 혜성 등에서

특이한 궤도 천체가 발견되다보니

결국 또 행성 X 의 존재가 가정되어 왔다고 하는데요.

최근의 천문 우주관측 상 데이터 분석결과로

9번째 행성이 존재할 이유가 없어졌다는 주장이 있는데요

이것은 어떤 과학적 계산에 근거하는 지

그리고 그 진위여부는 밝혀졌는 지 알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19~20세기 초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에서 발견된 미세한 이상 운동으로 천문학자들은 해왕성 너머에 미지 행성이 있을것이라고 추정하였고 이를 통해 명왕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하지만 명왕성이 질량이 작아 초기 관측된 궤도 이상을 설명하진 못했죠. 이후 2016년 카이퍼 벨트의 극한 TNO 궤도 정렬 현상이 질량 5~10 지구질량이ㅡ 외곽 행성때문이라 이야기하지만 이와 관련된 관측에선 궤도 편향이 관측편향에 의해 생길수 있다고 주장하며 대규모 통계에 기반해 플레닛 X가설을 반박하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