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시장에서 중국이 독점하고 있다고 하던데 기술력은 어떤가요?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중국이 거의 독점하고 있다고 하던데..
중국의 기술력이 월등히 뛰어난 건가요?
이전에 코로나 시기 때 마스크 제작 능력이 우수한 곳중에 하나가 중국이였던 것도 놀랐는데..
이젠 로봇의 기술력도 중국이 앞서가고 있다는게 실로 충격 이네요..
우리나라와의 기술력 차이는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지는것은 사실입니다.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막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로봇 산업을 급속도로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2028년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패권을 굳힐 것으로 전망되기도 합니다. 유비테크와 같은 중국 로봇 기업들은 스스로 배터리를 교체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선보이는 등 기술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거대한 내수 시장과 인공지능(AI)기술과의 적극적인 융합 덕분이라고 볼수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는 여전히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 공정에서의 정밀 로봇이나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는 오랜 노하우와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서비스 로봇 처럼 범용적이거나 대규모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로봇에서는 중국이 빠르게 격차를 좁히거나 일부 앞서나가는 모습을 보입니다.
정리하자면, 중국은 서비스 로봇 시장의 규모와 성장 속도, 그리고 일부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산업용 로봇과 고부가가치 특수 로봇 분야에서 기술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양국이 로봇 산업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강점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중국의 경우 시장의 점유율을 엄청난 속도로 장악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거대한 자본력으로 기술력을 사들이는 방법과 기술에 대한 규제 없이 자유로운 부분에 의해서 인거죠.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중국이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것은 기술력 외에도 여러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여기에 정부의 강력한 지원 정책과 자국 내 방대한 내수 시장이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인건비 절감 수요에 맞춰 다양한
상업용 로봇을 빠르게 상용화했습니다. 기술력은 일부 분야에서 선진국에 뒤지지만 생산 속도와 가격 경쟁력이 뛰어
납니다. 따라서 독점 수준의 점유율은 기술력보다는 산업 생태계와 시장 전략 덕분이라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중국이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기술력으로 본다면 중국을 제외한 선진국 기업들이 여전히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다양한 로봇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있지만 중국의 생산과 가격 경쟁력에 밀리고 있다고 볼 수있습니다.
일부 소프트웨어 및 AI 기술력 측면에서는 중국과 대등하거나 우위를 점하는 기술력을 보여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