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도빠!!
나도빠!!

SEC 금리 인하로 인한 한국은행 금리 발표!

SEC에서 오늘 금리 인하 0.5%를 강행했는데요 우리나라 한국은행은 똑같이 0.5%를 내릴까요 아니면

덜 내릴까요? 금리 인하로 인해서 바뀌는 경제에 대해서 부동산, 경제, 수출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 요청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0.5%p를 연준과 똑같이 내리기 어렵습니다. 그랬다가는 바로 부동산 가격과 물가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인데, 금리가 내리게 되면 부동산은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경제 호조, 수출 호황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SEC 금리 인하로 인한 한국은행 금리 인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은 5.50퍼센트에서 0.50퍼센트가 하락된 것입니다.

    한국은 3.50퍼센트이기에 비율대로 내려간다고 해도 0.25퍼센트 정도 내릴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낮은 기준금리를 유지하였기에 0.25%만 낮출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미국의 금리인하에 맞춰서 계속 금리를 조정하면서 유사수준을 유지하려고 노력할 듯 합니다. 이러한 금리인하는 부동산 및 경제에 활력을 불어일으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수출의 경우에도 소매업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부동시장과 가계대출현황이며 이부분은 이창용총재가 지속언급하고 이에 8월에 금리동결했던것입니다.

    다만 이번 미국이 0.5프로로 큰폭으로 단행했고 9월 가계대출이 다소 진정되면서 인하기대감이 다소 크나 최근에도 한국은행은 국내 가계대출과 수도권부동산가격우려를 생각해보면 0.25프로 인하수준이 맞다고 보입니다.

    기준금리인하로 달러인덱스하락으로 원화가치의 상승으로 수입물가가 하락하여 물가안정에 도움이 되며 한국의 시장금리 하락이 나오면 부동산 PF시장의 다소 안정화와 건설시장의 인허가 물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엔화는 달러하락으로 크게 최근 상승하면서 오히려 원화가치하락보다 이부분이 부각되며 즉 실질실효환율이 크게 떨어지않고 오히려 엔화대비 우호적환경으로 수출에 크게 부정적으로는 안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틀릴수도 있지만은 저는 개인적으로 안내리거나 0.25내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미국하고 기준금리차이도 아직 나고요. 얼마전에 서울 아파트 오른다고 오름세 낮추려고 대출 조이고 있는 와중인데, 바로 내릴 수 있을까 생각도 듭니다. 가계대출도 많은 상황이고요.

    대신 실제로 자영업자들은 물가 오른데에다가 금리까지 높으니 힘든 상황인건 맞습니다. 그러니 언젠가는 낮춰야하는데, 위 같은 상황이 부담은 되니 바로 따라 똑같이 0.5를 강행하지는 못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연준이 0.5%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한국은행이 동일하게 0.5% 인하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한국은행은 국내 경제 상황을 고려하는데 특히 높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 불안정성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할 겁니다.

    금리 인하가 이뤄진다면 부동산 시장에는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어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거품을 키울 우려도 있습니다.

    수출 측면에서는 원화 약세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지만 글로벌 수요 약화가 이어질 경우 기대만큼 효과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0.5% 인하한 가운데,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은 미국의 금리 인하와는 별도로 국내 경제 상황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한국은행이 미국의 금리 결정과는 달리 국내 요인에 기반해 금리 결정을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이 미국과 같은 폭으로 금리를 인하할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국내 경제 상황을 고려해 다소 덜 인하할 수도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부동산, 경제, 수출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로 대출 금리가 낮아져 주택 구매나 투자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낮은 금리는 버블 위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경제 전반적으로는 기업의 대출 비용이 줄어들고 소비가 촉진되어 경제 성장을 지원할 수 있지만, 과도한 금리 인하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가 낮아지면 자국 통화가 약세로 전환될 수 있어 수출업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자국 통화의 약세는 외화로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SEC는 아니고 FED에서 빅컷을 결정하였습니다

    • 50BP를 인하해도 여전히 한국보다 기준금리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천천히 금리를 인하할 것입니다

    • 따라서 올해안에 25BP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현재 우리나라 내수시장 경제가 암울한 만큼 경기를 부양해야할 필요가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sec의 금리 인하 결정은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한국은행이 sec와 동일한 0.5% 포인트를 인하할 경우, 이는 국내 경제에 직접적인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국내 경제 상황, 인플레이션, 소비자 물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금리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꼭 동일한 수준으로 인하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국내 경제가 안정적인 상황이라면 금리를 덜 내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어 가계와 기업의 대출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집값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들은 낮아진 이자 비용을 통해 더 많은 투자를 하게 되고, 이는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가 낮아지면 외환 시장에서 원화 약세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수출 기업에게는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합니다. 원화 약세는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반면, 금리 인하가 장기적으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나치게 낮은 금리가 지속되면 자산 버블을 형성할 수 있고, 부동산 가격이 과도하게 상승할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의 결과가 긍정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한 금리 결정을 내릴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금리 인하를 발표했다면, 이는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행이 동일하게 0.5%를 인하할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한국의 경제 상황, 물가, 고용, 외환 시장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것입니다.

    금리 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부동산: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 이자가 줄어들어 주택 구매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경제: 금리 인하는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낮은 금리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3. 수출: 금리가 낮아지면 원화 가치가 하락할 수 있어 수출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습니다.